“이용구가 운행 중 목 잡았다”던 택시기사, 사흘 뒤 진술 번복

“이용구가 운행 중 목 잡았다”던 택시기사, 사흘 뒤 진술 번복

손지민 기자
입력 2020-12-22 21:25
수정 2020-12-22 21: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용구 법무부 차관 연합뉴스
이용구 법무부 차관
연합뉴스
이용구 법무부 차관에게 “폭행당했다”고 신고한 택시기사가 운행 중 이 차관에게 욕설을 듣고, 목 부위를 잡혔다는 진술을 번복한 것으로 확인됐다.

22일 경찰에 따르면 지난달 6일 택시에서 잠든 이 차관을 깨우다 멱살을 잡혔다고 신고한 택시기사 A씨는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에게 ‘거의 다 왔을 무렵’ 목 부위를 잡혔다고 진술했다. 사건이 운행 중에 일어났다는 취지다. 또 A씨는 운행 중 이 차관이 갑자기 뒷문을 열었고, 이를 제지하자 욕설을 내뱉었다고도 진술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진술은 사흘 뒤 바뀌었다. A씨는 지난 9일 목 부위를 잡은 것이 아니라 멱살을 잡은 것이고, 이미 차를 세우고 난 후 발생한 일이라고 진술을 번복했다. 욕설 역시 이 차관이 혼자 ‘에이, 씨’라고 중얼거려 신경쓰지 않았다는 취지로 말이 바뀌었다. A씨는 이날 이 차관의 처벌을 원치 않는다는 내용의 처벌불원서를 경찰에 제출하기도 했다.

최초 신고 당시 A씨는 이 차관이 자신의 목을 잡는 장면이 블랙박스에 찍혀 있다고 주장했으나, 경찰 확인 결과 블랙박스는 녹화돼 있지 않았다. 현장에서 목을 잡힌 흔적도 발견하지 못 한 것으로 확인됐다.

‘거의 다 왔을 무렵’이란 진술을 두고 고심하던 경찰은 A씨의 바뀐 진술을 토대로 이 사건을 단순 폭행이라 판단해 내사 종결했다. 경찰 관계자는 “최초 진술을 입증할 만한 자료가 부족했고 당시 목을 잡힌 흔적이 없는 점, 바뀐 진술 등을 토대로 검토했다”고 설명했다.

손지민 기자 sj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