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 조사국 거시재정팀 김민식 차장 등 연구진은 30일 발표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인구구조 변화 여건 점검’ 보고서에서 코로나19 감염률과 사망률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직접적인 인구 피해가 국내에서는 낮을 것으로 분석했다. 또 대규모 재난 이후 통상적으로 나타나는 베이비붐(출산율 증가) 현상도 그 정도가 크지 않을 것으로 봤다.
다만 코로나19 확산으로 사회 전반의 경제·심리적 불안을 키워 혼인·출산 결정을 취소 혹은 연기하는 쪽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올 3~9월 혼인 건수는 11만 800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3만 4000건)보다 12% 감소했다. 국민건강보험에 따르면 임산부가 진료비 지원 등을 위해 발급받는 국민행복카드 발급 건수는 4~8월 13만 700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7% 줄었다.
연구진은 “코로나19의 고용·소득 충격이 20~30대에 상대적으로 집중된 점이 혼인·임신 감소에 크게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1인 가구 비중이 커지는 가운데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생활방식 확산, 경쟁환경 심화 등으로 긍정적 결혼관이 더욱 축소될 수 있다”며 “코로나19가 출산에 미칠 영향은 올해 임신 유예와 혼인 감소를 고려했을 때 2022년까지 적어도 2년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통계청은 지난해 장래인구추계상 비관적인 면에서 본 시나리오에서 2022년 합계출산율이 0.72명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진은 이를 더 밑돌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코로나19에 따른 저출산 심화는 시차를 두고 생산가능인구의 본격적 감소로 이어지고, 이들이 출산 적령기에 이르게 될 2045년 이후에는 2차 저출산을 초래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백신 개발 등으로 코로나19 종식이 가까워지면 일시적 혼인·출산 유예가 해소되면서 출산율이 시차를 두고 일정 부분 회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20-12-31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