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인이상 모일 수 있나”…설 연휴 이후 조정안, 13일 발표 예정

“5인이상 모일 수 있나”…설 연휴 이후 조정안, 13일 발표 예정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1-02-09 09:11
업데이트 2021-02-10 18: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시장 면담 요구하며 시청 난입
시장 면담 요구하며 시청 난입 유흥주점 관계자들이 20일 대전시청 앞에서 집합금지 해제 촉구 기자회견을 마치고 시장과 면담을 요구하며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2021.1.20/뉴스1
13일 개편안 발표 5인이상 집합금지 풀릴까
“이번 주 상황 지켜봐야” 일정 확정시 재공지


정부는 14일 이후 적용할 사회적 거리두기와 5인 이상 모임 금지 등 방역수칙을 토요일인 13일 발표할 예정이다.

8일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정부세종청사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결정해야 해서 (브리핑)일정이 변수”라며 “토요일로 생각하면서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정 논의 중인 방역수칙에 대해 “현행 거리두기 기준에 따라 단계 조정에 대해 특별하게 취하는 조치도 모두 논의된다. 운영제한,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는 특별조치로 이 부분도 논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지난해 12월8일부터 수도권 2.5단계, 비수도권 2단계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적용하고 있다. 같은해 12월24일부터는 5인 이상 모임 금지도 실시 중이다. 이 같은 방역조치는 설 연휴가 끝나는 14일까지 유효하다.

정부는 지난 6일 유행 상황을 평가한 결과 기존 거리두기와 방역 수칙 등은 유지하되 비수도권의 다중이용시설 운영제한 시간만 기존 오후 9시에서 오후 10시로 1시간 연장했다.
이미지 확대
‘거리두기 단계 개편을 위한 공개토론회’가 열린 2일 서울 중구 LW컨벤션 앞에서 자영업자들이 시위를 나서며 영업시간 연장 등을 촉구하고 있다. 2021. 2. 2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거리두기 단계 개편을 위한 공개토론회’가 열린 2일 서울 중구 LW컨벤션 앞에서 자영업자들이 시위를 나서며 영업시간 연장 등을 촉구하고 있다. 2021. 2. 2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이날 손 사회전략반장은 “어제(7일) 의심환자 검사가 작았기 때문에 선별진료소, 임시 선별검사소 포함해 3만 6000건으로 나와 평소의 반절 수준이라 그 영향이 있었을 것”이라며 “하루 확진자 수보다는 전체 흐름이 중요하다. 의심환자 검사 건수가 줄어드는 추세라 월·화 수치는 낮게 나오는 측면이 있다. 수도권은 200명 넘게 유지되고 있고 유행이 있다고 보고 있다. 특별히 수도권 주민들에게 (방역수칙 준수를)당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8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289명,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64명으로 지난해 11월23일 이후 가장 적은 수치로 나타났다.

단 지난 1일부터 이날까지 1주간 국내 발생 추이를 보면 295명→433명→429명→350명→366명→326명→264명 등이다. 1주간 하루평균 환자 수는 351.71명으로 여전히 300명 넘는 확진자들이 지역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오는 9일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 관련 2차 정책토론회를 연다. 지난 2일 전문가 중심으로 1차 논의를 진행한 데 이어 이번에는 소상공인, 자영업자 등 대표자가 참여해 현장 의견을 제시한다. 2차 토론회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 방향과 다중이용시설 방역 개선 방안 등도 발표될 예정이다.

이와 별개로 정부는 지난주부터 식당, 카페, 실내체육, 노래연습장, 학원, 유흥시설 등 업종별 간담회를 갖고 방역 조치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이번주에도 PC방, 극장 및 공연계 등과 간담회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토론회와 간담회 등을 통해 의견을 모은 뒤 설 연휴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6일 서울 명동의 거리. 정부가 이날 음식점 등 매장 내 영업 제한 시간을 비수도권은 오후 10시까지로 1시간 완화했지만, 수도권은 그대로 유지하기로 하자 지역별로 희비가 교차했다. 연합뉴스
6일 서울 명동의 거리. 정부가 이날 음식점 등 매장 내 영업 제한 시간을 비수도권은 오후 10시까지로 1시간 완화했지만, 수도권은 그대로 유지하기로 하자 지역별로 희비가 교차했다. 연합뉴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