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키지 못한 ‘한 해 출생아 30만명대’… 인구 재앙 현실화됐다

지키지 못한 ‘한 해 출생아 30만명대’… 인구 재앙 현실화됐다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21-02-24 17:56
업데이트 2021-02-25 02: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인구절벽 넘어 ‘데드크로스’

출생아 3년 만에 20만명대… 대구 15.4%↓
40대 산모 제외한 2030 출산율 모두 저하
사망자 1만명 늘어… 14개월째 출생<사망
경북·부산 등 11개 시도서 인구 자연감소
이미지 확대
지난해 출생아 수가 역대 최저로 떨어지며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자연 감소했다. 사진은 서울 중구 제일병원 신생아실에서 간호사가 신생아를 돌보고 있는 모습. 서울신문 DB
지난해 출생아 수가 역대 최저로 떨어지며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자연 감소했다. 사진은 서울 중구 제일병원 신생아실에서 간호사가 신생아를 돌보고 있는 모습.
서울신문 DB
“한 해 출생아 수 30만명을 지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겠습니다.”

2018년 12월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제3차 저출산 고령사회 정책 수정 로드맵’을 발표하고, 출생아 수 30만명만큼은 지키겠다고 공언했다. 출생아 수 30만명은 인구학자들 사이에서 심리적 저지선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불과 2년 만에 이런 목표는 산산조각 나고 말았다. 전국 17개 시도 모든 곳에서 아기 울음소리가 줄었고, 사상 처음으로 인구가 자연 감소하는 ‘데드 크로스’ 시대를 피하지 못했다.

24일 통계청의 ‘2020년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를 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7만 2400명에 그쳐 30만명 선이 무너졌다. 2019년 30만 2700명으로 아슬아슬하게 턱걸이했던 터라 30만명 붕괴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됐지만 감소폭(-10.0%)이 예상보다 훨씬 컸다.

1970년대 100만명대였던 출생아 수는 2002년(49만 6900명) 50만명을 밑돌았고, 2017년(35만 7700명) 30만명대로 떨어졌다. 40만명대에서 30만명대로 내려오는 데 15년(2002년→2017년)이 걸렸지만, 30만명대에서 20만명대는 불과 3년(2017년→2020년)밖에 소요되지 않았다. ‘날개 없는 추락’이란 말이 나오는 이유다.
이미지 확대
지역별로 보면 대구에서 출생아가 15.4%(1만 3200명→1만 1200명)나 줄었다. 인천(-13.6%)과 경남(-12.7%) 등도 감소폭이 컸다. 2012년 통계 집계 이래 매년 출생아가 늘었던 세종도 지난해엔 감소(3800명→3500명)했다. 산모 연령대별로는 40대를 제외한 모든 계층에서 1년 전보다 출산율(해당 연령 여자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이 낮아졌다. 20대 초반(20~24세)과 후반(25~29세)이 각각 14.0% 떨어졌고, 30대 초반(30~34세)도 8.0% 뒷걸음질쳤다.

반면 사망자 수는 30만 5100명으로 전년보다 1만명(3.4%) 늘면서 1970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다. 90세 이상에서 8.9%, 80대에서 6.4%, 20대에서 5.7% 늘었다. 20대 사망자가 늘어난 건 오는 9월 사망 원인 통계 집계가 나와야 정확히 알 수 있으나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경우나 사고사 등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자연 인구가 감소하는 현상은 지난해 내내 이어졌다. 2019년 11월부터 시작됐으니 14개월 연속이다. 결국 지난해에만 3만 3000명이 감소해 ‘인구 절벽’이 현실화됐다. 특히 지난해 12월에는 출생아(1만 9600명)가 사상 처음으로 1만명대에 그친 반면, 사망자는 2만 6900명에 달했고, 한 달 새 7300명이나 자연 인구가 감소했다. 경북(-1만명)과 부산(-8000명) 등 11개 시도에서 인구가 자연 감소했고, 증가한 지역은 경기(1만 5000명) 등 6곳에 그쳤다. 김수영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계속되는 저출산으로 출생아 수가 줄고 고령화로 사망자 수가 증가하며 인구 자연 감소가 최초로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세종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21-02-25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