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물류센터 화재현장 인근 하천서 물고기 떼죽음

쿠팡물류센터 화재현장 인근 하천서 물고기 떼죽음

신동원 기자
신동원 기자
입력 2021-06-21 18:07
업데이트 2021-06-21 18: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가량 떨어진 곳...사흘새 1000여 마리
이천시“진화과정서 유출된 소화수 원인 가능성”

쿠팡물류센터 화재 발생 이틀만인 지난 19일부터 현장에서 1㎞가량 떨어진 복하천 3개 보에서 물고기 1000여마리가 죽은 채 물 위로 떠 올랐다. 연합뉴스
쿠팡물류센터 화재 발생 이틀만인 지난 19일부터 현장에서 1㎞가량 떨어진 복하천 3개 보에서 물고기 1000여마리가 죽은 채 물 위로 떠 올랐다. 연합뉴스

이천 쿠팡 덕평물류센터 화재진압이 더뎌지며 지역 주민들의 피해가 속출하는 가운데 인근 하천에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해 관계 당국이 원인 조사에 나섰다.

21일 이천시에 따르면 쿠팡물류센터 화재 발생 이틀만인 지난 19일 현장에서 1㎞가량 떨어진 복하천(폭 20∼50m) 3개 보에서 물고기 300마리가 죽은 채 물 위로 떠 올랐다.

20일에는 폐사한 물고기가 1000마리를 넘었고 21일에도 500여마리가 죽은 채 발견됐다.

폐사한 물고기는 붕어, 잉어, 꺽지, 피라미 등 종류가 다양했고 발견된 3개 보는 쿠팡물류센터 인근 소하천(뒤뜰천)이 복하천과 만나는 지점부터 하류 3.2㎞ 구간에 설치돼 있다.

시 관계자는 “사흘간의 물고기 떼죽음은 수질오염 외에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며 “불을 잘 끄기 위해 소화수에 천연 계면활성제를 넣는데 이 성분이 공기를 차단해 물고기가 폐사할 수 있는 만큼 쿠팡물류센터 화재진압 과정에서 하천으로 흘러든 소화수가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시는 폐사한 물고기 시료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보내 정밀 분석을 의뢰했다.

또 복하천 3개 보와 뒤뜰천과 복하천 사이 갑문의 하천물을 채취,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해 수질분석에도 나섰다.

지난 17일 발생한 쿠팡물류센터 화재로 마장면 덕평1리 등 인근 마을 주민 수십명이 두통과 눈 따가움 등의 증상을 호소하고 있고 닷새간의 진화과정에서 분진이 쏟아지며 농작물과 토양 오염 피해가 잇따랐다.

신동원 기자 asada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