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대만 입은 모델들”…성 상품화 논란에 업체 공식 사과

“생리대만 입은 모델들”…성 상품화 논란에 업체 공식 사과

이보희 기자
입력 2021-07-11 15:56
수정 2021-07-11 15: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악플·영업방해 등 도 넘는 악의적 행위에 대해선 법적 대응”

인스타그램 캡처
인스타그램 캡처
팬티형 생리대를 착용한 모델 사진을 사용해 성 상품화 논란이 제기된 생리대 업체가 공식 사과했다.

지난해 5월부터 팬티형 생리대를 판매하고 있는 A 업체는 지난 10일 공식 인스타그램을 통해 “먼저 이유 막론하고 금일 이슈가 된 입는 오버나이트 모델 착용 사진에 대해 불편을 드린 점에 대해 사과 말씀드린다”고 전했다.

이어 “모델 착용 사진은 여성의 ‘성 상품화’가 아닌 다양한 체형의 소비자가 착용해도 편안하게 활동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촬영했으며, 특정 신체 부위를 부각해 촬영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여성이 사용하는 제품을 남성에게 의도적으로 노출하여 매출 증대에 도움이 되는 부분은 전혀 없다. 다만 저희에게 주신 의견 등을 접수하여 내부적으로 해당 모델 사진에 대해 선정성 여부를 재검토 후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업체 측은 “특정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좌표’를 찍고 악의적인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오프라인 입점 가게에 업무가 힘들 정도로 연락해 정상적인 영업에 차질을 빚고 있다”고 호소하며 “도를 지나친 악의적인 행위를 하는 인원에 대해서는 현재 자료수집 중이며, 민형사상 법적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업체는 또한 모델의 얼굴이 공개된 사진이 유포되는 것에 대해 “초상권 침해를 멈춰달라”며 해당 사진을 공식 SNS에서 비공개 처리했다고 전했다.



해당 업체는 SNS에 제품을 착용한 사진 등을 다수 노출하는 방식으로 마케팅을 해왔다. 제품의 기능성을 강조하겠다는 의도였다고 해명했지만, 해당 생리대를 착용한 모델들이 탱크톱을 입고 있는 등 불필요한 노출과 요가를 연상시키는 자세 등에 대해 “지나치게 선정적”이라는 비판이 쏟아진 바 있다.
인스타그램 캡처
인스타그램 캡처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