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1만원 공약 깼다” 민주노총 퇴장…내년 최저임금 9160원 5%↑

“최저임금 1만원 공약 깼다” 민주노총 퇴장…내년 최저임금 9160원 5%↑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21-07-13 00:18
업데이트 2021-07-13 00: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22년 최저임금 결정… 최저임금위 근로자위원 4명 회의장서 항의성 집단퇴장

“저임금 노동자 희망고문·우롱…분노 규탄”
공익위원 9160원 제시…전년比 440원↑
월 209시간 노동시…월급 191만 4440원

민주노총, 14.7% 오른 1만원 인상 요구
경영계, 1.5% 오른 8850원 주장
9160원 제안에 사용자위원 전원 맞퇴장
이미지 확대
최저임금 회의서 퇴장, 입장 밝히는 민주노총 근로자위원
최저임금 회의서 퇴장, 입장 밝히는 민주노총 근로자위원 12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최저임금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제9차 전원회의에 참석한 민주노총 소속 박희은 부위원장(왼쪽)을 비롯한 근로자위원들이 공익위원들이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 구간으로 9천30∼9천300원을 제시한 데 대한 항의의 표시로 회의장서 퇴장해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2021.7.12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공익위원들 최저임금 9천30∼9천300원 제시, 대화하는 근로자위원들
공익위원들 최저임금 9천30∼9천300원 제시, 대화하는 근로자위원들 박준식 위원장을 포함한 최저임금위원회 공익위원들이 12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9차 전원회의에서 내년도 최저임금의 심의 촉진 구간을 9천30∼9천300원으로 제시했다. 잠시 정회한 상태에서 박희은 민주노총 부위원장(왼쪽 세번째)을 비롯한 근로자위원들이 대화하고 있다. 2021.7.12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내년 최저임금 놓고 고민하는 노사
내년 최저임금 놓고 고민하는 노사 12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최저임금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9차 전원회의에서 사용자위원인 한국경영자총협회 류기정 전무(왼쪽)와 근로자위원인 이동호 한국노총 사무총장이 박준식 위원장의 발언을 들으며 무거운 표정을 하고 있다. 2021.7.12 연합뉴스
노사간 첨예한 힘겨루기 끝에 내년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5.1% 오른 시간당 9160원으로 결정됐다. 최저임금을 심의·의결하는 사회적 대화 기구인 최저임금위원회는 12일 밤 제9차 전원회의에서 내년도 최저임금을 9160원으로 의결했다. 이는 올해 최저임금(8720원)보다 440원(5.0%) 높은 금액이다. 내년도 최저임금의 월 환산액(월 노동시간 209시간 기준)은 191만 4440원이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추천 근로자위원들이 이날 내년도 최저임금 의결을 앞두고 열린 최저임금위원회 회의에서 집단 퇴장했다. 사용자위원 9명도 민주노총의 집단퇴장에 맞서 인상폭에 불만을 제기하며 표결을 앞두고 전원 퇴장했다.

코로나 사태 이후 회복세 반영했지만…
민주노총 “분노, 노동자 투쟁으로 간다”

현 정부 들어 최저임금 인상률은 적용 연도를 기준으로 2018년 16.4%, 2019년 10.9%로 2년 연속 두 자릿수였지만, 지난해 2.9%로 꺾였고 올해는 역대 최저 수준인 1.5%로 떨어졌다.

최저임금위가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을 5.0%로 높인 것은 지난 2년 동안 유지한 최저임금 인상 억제 기조에서는 벗어난 것으로,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 이후 경기 회복 전망을 부분적으로 반영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민주노총 근로자위원 4명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최저임금위 제9차 전원회의 도중 회의장 밖으로 나왔다.

이는 최저임금 심의의 키를 쥔 박준식 위원장을 포함한 공익위원들이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 구간으로 9030∼9300원을 제시한 데 대한 항의의 표시다.

최저임금 심의는 근로자위원들과 사용자위원들이 각각 내놓은 요구안의 격차를 좁히는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격차가 좁혀지지 않을 경우 공익위원들은 심의 촉진 구간을 제시해 그 범위 내에서 수정안을 내라고 요청한다.

공익위원들이 이날 제시한 심의 촉진 구간의 하한인 9030원은 올해 최저임금(8720원)보다 3.6% 높은 수준이고 상한인 9300원은 올해 최저임금보다 6.7% 높은 금액이다.
이미지 확대
최저임금위원회 9차 전원회의 시작
최저임금위원회 9차 전원회의 시작 박준식 최저임금위원회 위원장이 12일 정부세종청사 고용노동부 내 최저임금위원회 전원회의장에서 열린 9차 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내년도 최저임금은 이날 밤샘 회의를 거쳐 자정을 넘긴 13일 10차 전원회의에서 결정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2021.7.12 뉴스1
이미지 확대
국민의례 하는 최저임금위원회 사용자-근로자위원
국민의례 하는 최저임금위원회 사용자-근로자위원 최저임금위원회 위원들이 12일 정부세종청사 고용노동부 내 최저임금위원회 전원회의장에서 열린 9차 전원회의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내년도 최저임금은 이날 밤샘 회의를 거쳐 자정을 넘긴 13일 10차 전원회의에서 결정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2021.7.12 뉴스1
이미지 확대
‘필수노동자 최저임금 인상하라!’
‘필수노동자 최저임금 인상하라!’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조 조합원들이 7일 오전 서울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필수노동자 최저임금 인상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번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은 팔수노동자들에 대한 최저임금 인상과 제대로 된 지원대책 등을 촉구했다. 2021.7.7 뉴스1
이미지 확대
소상공인연합, 최저임금 동결 촉구
소상공인연합, 최저임금 동결 촉구 소상공인연합회가 7일 국회 앞에서 최저임금 동결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1.7.7 연합뉴스
공익위원들이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을 3.6∼6.7%로 제안한 셈이다.

현재 노동계와 경영계가 각각 제출한 내년도 최저임금 요구안의 3차 수정안은 각각 1만원(14.7% 인상), 8850원(1.5% 인상)이다.

박희은 민주노총 부위원장은 퇴장 직전 “문재인 정부의 최저임금 1만원 공약은 결국 지켜지지 않았다”면서 “저임금 노동자들에게 희망 고문을 하고 우롱한 데 대해 매우 분노하고 규탄한다”고 밝혔다.

박 부위원장은 “공익위원들이 제시한 구간 어디에 노동자들의 요구가 반영됐는지 묻고 싶다”면서 “민주노총은 오늘의 분노로 노동자들의 투쟁을 조직해나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민주노총 위원들의 퇴장으로 근로자위원은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추천 위원 5명만 남게 됐다. 최저임금위는 근로자위원, 사용자위원, 공익위원 9명씩 27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노동부, 8월 5일까지 최저임금 고시
내년 1월 1일부터 효력 발생

최저임금법에 따라 최저임금위는 이날 의결한 내년도 최저임금안을 고용노동부에 제출하게 된다.

노동부는 다음 달 5일까지 내년도 최저임금을 고시해야 한다. 최저임금이 고시되면 내년 1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최저임금 고시를 앞두고 노사 양측은 이의 제기를 할 수 있고 노동부는 이의가 합당하다고 인정되면 최저임금위에 재심의를 요청할 수 있다. 국내 최저임금제도 역사상 재심의를 한 적은 없다.

최저임금은 모든 사업주가 그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강제함으로써 저임금 노동자를 보호하는 제도다. 최저임금은 실업급여 등 각종 정부 지원금의 기준 역할도 한다.
이미지 확대
내년 최저임금 놓고 고민하는 노사
내년 최저임금 놓고 고민하는 노사 12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최저임금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9차 전원회의에서 사용자위원인 한국경영자총협회 류기정 전무가 물을 마시고 있다. 오른쪽은 근로자위원인 이동호 한국노총 사무총장. 2021.7.12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최저임금 인상으로 필수노동자 보호하라!’
‘최저임금 인상으로 필수노동자 보호하라!’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조 조합원들이 7일 오전 서울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필수노동자 최저임금 인상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번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은 팔수노동자들에 대한 최저임금 인상과 제대로 된 지원대책 등을 촉구했다. 2021.7.7 뉴스1
이미지 확대
소상공인연합, 최저임금 동결 촉구
소상공인연합, 최저임금 동결 촉구 소상공인연합회가 7일 국회 앞에서 최저임금 동결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1.7.7 연합뉴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