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내 김홍빈 품어버린 히말라야… 그 산은 22년 전 실종 대학생을 돌려줬다

끝내 김홍빈 품어버린 히말라야… 그 산은 22년 전 실종 대학생을 돌려줬다

최치봉 기자
입력 2021-07-26 22:28
업데이트 2021-07-27 03: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 대장 “산에 묻히고 싶다” 생전 당부
가족요청에 수색 중단… 산악인葬 준비

브로드피크서 ‘27세 허승관’ 시신 발견
고 박영석 원정대와 합동 등반 중 실종
이미지 확대
김홍빈 대장. 광주시산악연맹 제공
김홍빈 대장.
광주시산악연맹 제공
“산에 묻히고 싶다. 혹시 사고가 나더라도 수색 활동 등에 따른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 달라.”

최근 히말라야 브로드피크(8047m)를 등정하고 하산하다 실종된 김홍빈(57) 대장이 원정을 떠나기 전 아내에게 당부한 마지막 말이다. ‘열손가락 없는 산악인’ 김 대장은 그의 평소 말처럼 그렇게 히말라야에 영원히 묻혔다.

광주시 사고수습대책위는 26일 “김 대장에 대한 수색을 중단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대책위는 “지난 25일 구조대 헬기가 김 대장이 추락한 지점으로 추정되는 브로드피크 7400m까지 올라가 6회를 돌면서 수색했으나 김 대장을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런 정황과 현지 구조팀·가족들의 의견을 존중해 수색 중단을 결정했다”면서 “생존 가능성은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김 대장의 장례 절차가 진행 중이다. 대한산악연맹은 ‘산악인장’으로 김 대장의 장례를 치를 준비에 착수했다.

산악연맹은 정부에 김 대장에 대한 체육훈장 ‘청룡장’ 추서를 건의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행정안전부의 공적심사 등을 거쳐 대통령 재가로 이뤄진다. 대책위는 김 대장의 구조·수색활동을 지원해 준 파키스탄과 중국 정부에도 감사의 뜻을 표했다.
‘연세산악회’ 글씨 아직 선명한데…
‘연세산악회’ 글씨 아직 선명한데… 김홍빈 대장이 실종된 히말라야 브로드피크에서 22년 전 실종됐던 연세산악회 소속 허승관씨 시신이 이달 초 외국인 등반대원에 의해 그의 유품과 함께 발견됐다.
뉴델리 연합뉴스
한편 히말라야 브로드피크(8047m) 베이스캠프(4950m) 인근에서 22년 전 실종된 연세산악회 소속 허승관(실종 당시 27세)씨 시신이 발견됐다. 이날 외교부 당국자 등에 따르면 이달 초순쯤 브로드피크 베이스캠프 근처에서 한 외국인 등반대가 눈이 잠깐 녹은 사이 풍화된 허씨 시신을 발견했다. 함께 발견된 연세산악회 재킷과 깃발 등을 토대로 허씨의 신원이 확인됐다.

김 대장 수색 도중 허씨의 시신이 발견됐다는 이야기도 있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허씨는 1999년 7월 29일 연세산악회 등정대 소속으로 고 박영석 대장 등반대와 합동으로 브로드피크를 오르다가 해발 7300m 지점에서 등반을 포기하고 내려오던 중 실종됐다. 연세산악회 측은 허씨 시신을 수습하기 위해 이날 파키스탄으로 관계자 1명을 출발시킨 것으로 전해졌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2021-07-27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