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산업 유산 전남방직, 개발이냐 보전이냐...개발방안 협의 착수

근대 산업 유산 전남방직, 개발이냐 보전이냐...개발방안 협의 착수

최치봉 기자
입력 2021-09-07 12:56
업데이트 2021-09-07 12: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광주 근대산업 유산인 북구 임동 전방(옛 전남방직)과 일신방직 부지 개발 협상이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역사·문화적 가치있는 건축물 ‘보존’과 수익형 ‘개발’ 사이에서 광주시가 어떤 최적안을 내놓을 지 관심이 모아진다.

7일 광주시에 따르면 토지 소유주가 제출한 개발계획안을 놓고 전담팀(TF)을 꾸려 구체적 검토작업에 들어갔다.

시는 앞서 지난해 11월부터 공장 부지 내 건축물과 지장물에 대한 기본 현황조사를 마쳤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 밑그림을 논의해 왔다.

공장 내 자체 발전소는 역사성 등을 감안해 그대로 유지하고 공장과 설비, 기숙사 등 일부 시설에 대한 보존 방안 도 마련 중이다.

이용섭 시장은 이와 관련 “공공성과 사업성이 조화를 이뤄야 한다”며 “고층 아파트나 레지던스 호텔, 주상복합 위주로 개발은 하지 않겠다”고 공언했다.

현재까지 전방·일신방직에 보존된 건축물 현황은 총 259동에 이른다.

1930년대 근대건축물 4동, 1950년대 22동, 1960년대 26동, 1970년대 30동, 1980년대 이후 203동 등이 그대로 남아있다.

이 가운데 전남방직에 남아있는 공장 2과(1958), 창고(1966), 물류창고(1969), 구 식당(1960년대) 구 원사무실(1960년대), 기숙사 (1960년대), 공장 1과 (1971년), 공장 3과(1975년), 구 기숙사(1971년), 사원아파트(1983), 구 사택, 구공관(1984) 건물과, 일신방직에 남아있는 생산1팀 (1958), 직포공장 (1966), 생산3팀 (1973), 생산2팀 (1987) 건물 등이 보존 여부 조사 대상이다.

시는 앞서 1934년 일신방직 공장 건설 당시 철골구조로 지은 화력발전소와 고가수조(물 저장시설), 제 1·2 보일러실 등에 대해서는 보존키로 결정했다.

전남·일신방직은 1935년 일본 방직업체가 설립한 공장이 모태로 1934년 종연방직(가네보 방직)으로 출발했다. 해방 이후에는 정부에서 관리하다 1951년 전방㈜으로 민영화된 데 이어 다시 1961년 지분 분할로 일신방직이 추가로 설립됐다. 전남방직은 2017년 말 가동을 중단했고, 일신방직은 현재까지 부분 가동 중이다.

두 공장은 일제 강점기 조선인 여성노동자에 대한 착취와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된 여성근로자들의 삶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대표적인 근대산업 문화유산으로 손꼽힌다.

지난해 모 부동산 개발업체에 6800억 원에 매각됐다. 지역 시민사회단체는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은 건축물이 대거 사라질 수 있다”며 “근대 문화유산 보존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미지 확대
광주 북구 임동 전방,일신방직공징 전경(광주시 제공)
광주 북구 임동 전방,일신방직공징 전경(광주시 제공)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