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수명 83세까지 산다면 5명 중 2명 암 걸린다

기대수명 83세까지 산다면 5명 중 2명 암 걸린다

이슬기 기자
입력 2021-12-29 17:26
수정 2021-12-30 01: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19년 인구 10만명당 296명 암 발생
갑상선암 최다… 폐암·위암·대장암 순
암 환자 10명 중 7명은 5년 이상 생존

이미지 확대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 기대수명인 83세까지 생존할 때 5명 중 2명이 암에 걸릴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최근 5년간 암을 진단받은 환자 10명 중 7명은 5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는 29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19년 국가암등록통계’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83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 발생률은 37.9%였다. 남성이 기대수명인 80세까지 생존할 경우 39.9%, 여성이 기대수명인 87세까지 살면 35.8%의 비율로 암 발생이 예측됐다. 우리나라 암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295.8명으로, 2018년 대비 3.4명(1.2%) 증가했다. 세계표준인구로 보정한 국내 암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275.4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301.1명)보다 낮았다. 2019년 진단받은 신규 암환자는 25만 4718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남성이 13만 4180명으로 여성(12만 538명)보다 더 많다. 2018년의 24만 5874명보다는 8844명(3.6%) 증가했다. 신규 암 환자 수는 2015년 21만 8명에서부터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9년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12%, 3만 676명)이었다. 이어 폐암, 위암,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간암 순이다. 전년도에 1위를 기록했던 위암이 3위(2만 9493명)로 내려앉았다. 국가가 검진비를 지원하는 국가암검진사업의 6대암 중 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은 최근 10여년간 감소 추세다. 그러나 유방암의 발생률은 20여년간 증가하고 있다.

최근 5년간(2015~2019년)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은 70.7%다. 상대생존율은 같은 연령대 일반인의 5년 생존율과 암환자의 5년 생존율을 비교한 것으로 상대생존율이 100%라면 일반인의 생존율과 같다는 의미다. 상대생존율은 1993년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해 2006∼2010년에 진단받은 암환자의 생존율(65.5%)과 비교하면 5.2% 포인트 향상됐다.

생존율은 여성(77.3%)이 남성(64.5%)보다 높았는데, 이는 생존율이 높은 갑상선암, 유방암이 여자에게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90%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보인 암은 갑상선암(100.0%), 전립선암(94.4%), 유방암(93.6%)이다. 간암(37.7%), 폐암(34.7%), 담낭 및 기타 담도암(28.5%), 췌장암(13.9%)은 상대적으로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남성은 44세까지 갑상선암이, 45~64세까지는 위암이, 64세 이후는 폐암이 각각 많이 발생했다. 여성은 39세까지 갑상선암, 40~69세까지는 유방암, 69세 이후에는 대장암이 많았다.
2021-12-3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