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정보 증강현실…‘모두의 몽촌토성’ 30일 출시

유적정보 증강현실…‘모두의 몽촌토성’ 30일 출시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22-04-15 15:38
수정 2022-04-15 15: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성백제박물관 몽촌역사관이 출시 준비 중인 ‘모두의 몽촌토송’ 앱의 모습. 한성백제박물관 제공
한성백제박물관 몽촌역사관이 출시 준비 중인 ‘모두의 몽촌토송’ 앱의 모습. 한성백제박물관 제공
한성백제박물관 소속 몽촌역사관은 몽촌토성의 유적 정보를 증강현실(AR) 기술로 제공하는 몽촌토성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앱) 서비스를 30일 출시한다고 15일 밝혔다.

앱을 통해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공원에 있는 몽촌토성 내 각 유적이 발굴된 지점에서 유적의 원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번 서비스는 문화체육관광부 ‘2021년 스마트 박물관·미술관 기반 조성 사업’ 선정을 통해 추진됐다. 몽촌역사관은 서비스 출시에 앞서 이용객 만족도 개선을 위해 오는 16일에 현장 시연을 진행한다. ‘모두의 몽촌토성’의 주요 콘텐츠는▲미리 알아보기(사전게임) ▲개로왕의 밀지: 첩자의 흔적(본게임) ▲유물 더 알아보기: 몽촌역사관(심화학습) ▲몽촌토성 길 찾기(길 안내) 4개 메뉴다.

이 가운데 ‘개로왕의 밀지: 첩자의 흔적’ 메뉴는 몽촌토성의 실제 유구와 유물이 출토된 현장에서 각 지점에 해당하는 설명을 확인하고, 연계된 스토리형 미션을 수행하는 게임이다.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통해 주요 지점을 답사하고, 증강현실(AR)로 구현된 몽촌토성의 유구·유물과 주요 인물들을 만나며 백제의 도읍이었던 몽촌토성의 모습을 학습할 수 있다.

유병하 한성백제박물관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코로나19의 지속적인 확산세로 비대면 중심 온라인 콘텐츠의 수요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며 “이번 서비스를 통해 몽촌토성이 언제 어디서나 시민들이 쉽게 즐길 수 있는 도심 속 역사유적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석 서울시의원, 방학신동아1단지 재건축 주민설명회 참석

서울시의회 박석 의원(국민의힘, 도봉3)은 지난 9일 도봉구청에서 열린 방학신동아1단지아파트 재건축사업 정비계획수립 관련 주민설명회에 참석했다. 1990년에 준공한 도봉구 방학신동아1단지아파트는 30개동 3169세대의 대규모 단지로, 2023년 재건축 안전진단 통과 후 정비계획 입안 제안 및 신속통합기획 자문을 거쳐 주민 공람을 진행 중이다. 공람 중인 정비계획(안)에 대한 설명과 질의응답이 이어진 설명회에는 주민 800여명이 참석해 재건축 추진에 대한 열의를 드러냈다. 박 의원은 “‘2030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따른 정비사업 사업성 개선방안(사업성 보정계수)이 적용되면서 허용용적률이 250%로 완화되었고 기부채납 등을 통해 법적상한용적률(300%)에 근접한 용적률 299.97%를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서울형 키즈카페 등 주민 선호 고려한 공공개방시설 설치, 발바닥공원을 구역에 포함하여 공원녹지 의무면적 부담 최소화 등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에 기여하면서 사업성을 증진하는 요소가 정비계획(안) 곳곳에 담겼다”며 “주민분들이 만족할 수 있는 정비계획(안)이 확정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박 의원은 “정비계획안 마련을 위해 힘써주신 신동아
thumbnail - 박석 서울시의원, 방학신동아1단지 재건축 주민설명회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