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제공

서울시청 전경.
서울시 제공
서울시 제공
서울물연구원이 1~6인 가구의 평균 물 사용량을 분석한 결과, 1인당 하루 평균 물 사용량은 가구원 수가 많아질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절약 시민참여 프로그램인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회원 중 13만 419가구의 빅데이터와 상수도사업본부의 수도계량기 검침 데이터를 결합해 가정용 수돗물 사용량 특성을 분석한 결과다.
지난해 서울시 가구별 1인당 하루 평균 가정용 물 사용량은 1인 가구가 276L로 가장 많았고 이어 2인 가구 210L, 3인 가구 174L, 4인 가구 152L, 5인 가구 137L, 6인 가구 127L 등의 순이었다. 4인 가구의 경우 1인 가구에 비해 1인당 하루 물 사용량이 절반 가까이(45%) 감소했다. 연구원은 세탁, 설거지, 청소 등 공동으로 사용하는 물 사용량으로 인해 가구원 수가 많아질수록 물 사용량 증가 폭이 둔화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주거 특성별로 보면 집이 넓을수록 물 사용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4인 가구 기준 주거면적이 10~20평인 가구가 하루에 598L를 쓸 때 40평 이상인 집에서는 648L를 썼다.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차윤경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교수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해 가구원 수별 수돗물 사용량을 분석한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