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여성가족재단이 발간한 ‘서울시민의 정신건강에 대한 성인지적 분석 및 정책 과제’에 따르면 서울시민 2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평균 우울 정도는 5.43점이었다. 불안 정도는 4.06점, 스트레스 정도는 18.12점으로 나타났다.
성별·연령대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20~30대 여성과 30대 남성에게서 우울, 불안,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0대 여성의 우울·불안 정도는 각각 6.21점, 5.31점이었다. 30대 남성은 각각 6.01점, 5.19점으로 나타났다. 세대별 정신겅간 현황을 살펴보면 청년 남성은 취업 여부가, 청년 여성은 정규직 여부가 영향을 미쳤다.
가구 형태별로는 한부모 가구 응답자의 56.4%가 경도 이상의 우울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돌봄 제공자 중 어린 자녀를 키우는 경우 뿐 아니라 부모를 돌보는 경우에도 돌봄의 부담이 우울, 불안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지원 필요성이 확인된다”고 제안했다.
이와 함께 서울시에서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공공기관의 인지 여부에 대해 응답자의 57.9%가 보건소를 가장 많이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정신건강 서비스(정신과 전문의원, 공공기관, 민간심리상담소)의 이용 경험을 살펴본 결과 이용 비율은 10.2%에 그쳤다.
보고서는 “40~50대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는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에서 이들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정신건강 지원 서비스가 제공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