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당신, 안녕하십니까


●바람도 계획도 없는 무기력 증
직장인 권모(31)씨도 지난해와 크게 다르지 않은 기분으로 새해 첫 일주일을 보냈다. 지난해 마지막 날인 12월 31일에는 제야의 종 타종 행사나 새해 카운트다운조차 지켜보지 않고 일찍 잠들었다. 권씨는 5일 “예전엔 해가 바뀔 때마다 새로운 목표를 계획하고, 가족·친구들과 신년 맞이도 했다”면서 “올해는 회사 일에 지쳐 쉬고 싶었고, 크게 바라는 일도 없어 계획을 세우지 않았다”고 했다.
● 일상 바꾼 코로나 4년차 … 우울증 100만명 육박
‘코로나 블루’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2020년 코로나19 확산 이후 우리 사회는 대면 접촉이 제한되고, 미디어 의존도가 높아지는 등 삶의 방식에 큰 변화를 겪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국내 우울증 환자 수는 93만 3481명으로,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7년(69만 1164명)과 비교해 37.1% 늘었다.
●3高에 경기 전망도 암울… 취업문 더 좁아지나
우울감이 증폭될 수 있는 상황이 3년 가까이 지속됐고, 고금리와 고물가, 주식·부동산 시장의 침체 등으로 올해 경제 상황도 암울한 수준이다. 직장인 김모(38)씨는 “코로나 이전의 생활로 돌아갈 수 없고, 경제적으로도 나아질 게 없다 보니 삶 자체가 정체되고 있다는 생각”이라며 “월드컵 때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이라는 문구가 유행한 것도 그만큼 우리의 삶이 우울해서 더 와닿았던 것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7%로 낮은 수준이다. 저성장 국면에 들어서면서 기업 투자뿐 아니라 채용도 늘어나기 어렵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2254개 제조업체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보다 투자를 늘리겠다는 기업은 12.6%에 그쳤다. 대학생 이모(24)씨는 “지난해부터 취업 준비를 하는데 면접에서 번번이 떨어졌다”며 “올해 경제가 더 나빠질 것이라고 하는데, 더 어려워지는 것 아닌지 걱정이 크다”고 했다.
●“계기판 경고등처럼, 마음 점검할 시기”
변상우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사지원위원장은 “사람은 누구나 마음속에 해결되지 않은 문제나 감정들을 품는데, 이게 외부 사건들의 영향을 받아 무기력증이나 우울, 불안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자동차도 계기판에 경고등이 들어오면 바로 정비를 받아야 하듯, 우리도 평소와 다른 불안감과 우울감이 느껴진다면 하나의 경고로 받아들이고 점검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2023-01-06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