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도 안 갔는데”…비대면 수업 3년, 학폭 피해는 35% 늘었다

“학교도 안 갔는데”…비대면 수업 3년, 학폭 피해는 35% 늘었다

이보희 기자
입력 2023-03-15 16:36
수정 2023-03-15 17: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초등생, 학폭 상담 2배 증가…연령 낮아져
언어폭력·사이버폭력 등 괴롭힘 당해

이미지 확대
학교폭력 자료사진
학교폭력 자료사진
코로나19로 지난 3년간 비대면 수업이 주를 이뤘음에도 불구하고 학교폭력(학폭) 피해 청소년들의 상담 건수는 늘어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5일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은 청소년상담 이슈페이퍼 2023년 제1호를 통해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 240곳의 지난 3년간(2020∼2022년) 학교폭력피해 청소년 상담현황을 공개했다.

전체 내담자 숫자는 2020년 1235명에서 2021년 1500명, 2022년 1667명으로 총 34.9% 늘었다. 특히 초등학생은 2020년 217명에서 2022년 425명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중학생도 561명에서 786명으로 40.1% 증가해 학교폭력 피해 연령이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원은 학교폭력으로 인한 외상 후 피해 극복 방법을 분석하기 위해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쉼터, 자립지원관,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상담사 중 학교폭력 상담을 한 경험이 있는 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중복 응답)를 했다.

이들 중 50명(58.1%)은 청소년들이 괴롭힘 문제로 상담실을 찾았다고 했고, 언어폭력(47명, 54.7%), 사이버폭력(26명, 30.2%) 문제도 있었다.

주로 호소하는 문제는 불안·위축(71명, 82.6%), 강박·불안(30명, 34.9%), 등교거부(30명, 34.9%), 대인기피(27명, 31.4%)로 나타났다.

상담사들이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로 생각하는 것은 우울·위축과 대인기피 문제, 외상 후 피해였다.

개발원은 “지난해 ‘학교폭력 외상피해 청소년 상담개입 매뉴얼’을 개발했으며, 올해부터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이를 바탕으로 상담자 역량강화 교육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3월부터 학교폭력 피해 자녀 부모를 위한 집단상담을 열어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뿐 아니라 부모에 대한 지원도 강화할 예정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