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동원 가해기업인 미쓰비시가 직접 사죄·배상해야”
“일본 의원들에게 ‘아직 해결되지 않았음’을 알려줄 것”

일본 사회민주당 오츠바키 유코 참의원이 6일 광주 서구 양동에 있는 미쓰비시 강제동원 피해자 양금덕 할머니 댁을 찾아 사죄와 위로의 말을 전하고 있다. 뉴스1 제공
오츠바키 유코 참의원은 이날 오후 광주 서구 양동에 있는 양금덕 할머니 댁에 직접 방문했다.
오츠바키 유코 참의원을 만난 양 할머니는 지난 2021년 발간된 일본어판 자서전 ‘빼앗긴 청춘 빼앗긴 인생’을 선물했다.
양 할머니로부터 국민학교 6학년 시절 일본에 가게 된 사연과 한국으로 돌아온 뒤 일본군 위안부로 오해받아 힘들게 살아왔던 일을 전해들은 오츠바키 유코 참의원은 “강제동원 당사자인 할머니가 빠진 양측 대표들간의 ‘강제 합의’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가해자인 미쓰비시가 잘못을 인정하고 반드시 사죄해야 한다”며 “일본 기업이 직접 책임질 수 있도록 일본 정부도 책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에 돌아가서 동료의원들에게 ‘우리의 책임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사실을 말해줄 것”이라며 “한일협정이 아무리 이뤄졌다고 해도 피해당사자가 ‘끝나지 않았다’고 한다면 해결되지 않은 것임을 알려주겠다”고 말했다.
한편, 양 할머니가 윤석열 정부가 내놓은 제3자 변제안의 ‘판결금’을 수령하지 않은 것이 알려지면서 ‘역사정의 시민모금’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피해자들의 용기있는 투쟁을 응원하고, 역사의 정의를 지키자는 취지로 진행되는 이번 모금을 통해 6일 현재까지 약 2억원의 기부금이 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2018년 대법원 판결 승소 원고 15명 중 11명은 오랜 싸움에 지쳐 판결금을 수령한 데 반해 생존 피해자인 양금덕 할머니와 이춘식 할아버지를 포함해 4명은 판결금을 수령하지 않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