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전보다 29명 줄었지만 업종·규모별로 상이
50인 미만 사업장이 전체 61.9%로 안전 취약

지난 8일 작업 중이던 근로자가 기계에 끼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SPC 계열사 경기 성남 샤니 제빵공장의 전 생산 라인이 가동 중단됐다. 연합뉴스
고용노동부가 30일 발표한 ‘2023년 상반기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에 따르면 이 기간 전국의 사업장에서 284건 중대재해로 총 289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1년 전(318명)과 비교해 9.1%(29명) 줄었다. 사고 건수는 5.6%(17건) 감소했다.
업종별로 건설업은 147명으로 3.3%(5명), 제조업은 81명으로 19.0%(19명) 각각 줄었다. 규모별로는 근로자 50인(억) 미만 사업장이 179명으로 9.1%(18명), 50인(억) 이상 사업장은 110명으로 9.1%(11명) 감소했다.
세부적으로 건설업과 기타 업종은 50인(억) 이상 사업장에서 사망자가 각각 7명, 5명 늘었고 제조업에서는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4명이 증가했다.
사고 유형별로는 떨어짐이 111명으로 21명, 끼임이 35명으로 1명, 부딪힘이 33명으로 9명 줄었다. 하지만 깔림·뒤집힘은 26명으로 8명, 물체에 맞음은 39명으로 7명 늘어 대조를 보였다.

2023년 상반기 중대재해 사망자 발생 현황. 고용노동부
올해 상반기 2명 이상 숨지는 대형 사고가 크게 감소했다. 대형사고 사망자는 10명으로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17명(5건) 줄었다. 지난해 11월 발표한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에 따른 위험성 평가와 매월 두 차례 실시하는 현장 점검 등도 중대재해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상대적으로 3분기에 사망사고가 많다는 점에서 보다 적극적인 현장 관리가 요구된다.
최태호 고용부 산재예방감독정책관은 “사망자 감소세가 지속되도록 위험성평가의 현장 안착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며 “안전 문화와 의식 정착을 높여 자율 예방체계가 구축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