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AI 바둑 로봇과 한 판 대국

[포토] AI 바둑 로봇과 한 판 대국

입력 2025-02-05 16:42
수정 2025-02-05 16: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장노년층 맞춤형 디지털 복합공간인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가 본격 운영을 시작한 지 1년 만에 총 8만여명의 어르신이 방문했다고 서울시가 5일 밝혔다.

지난해 2월 공식 운영을 시작한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서북센터(은평)와 서남센터(영등포) 2개소의 이용객 연령 비율은 70대 46%, 60대 34% 등으로 60대 이상이 대다수였다.

성별로는 여성 비율이 67%로 남성의 2배였다.

이곳에서 제공하는 200여개 교육 과정에는 연간 총 2만7천여명이 참여했다.

과목 중에서는 스마트폰 기초, 생활밀착형 애플리케이션 활용하기, 사진 편집으로 동영상 만들기, 앱테크(휴대전화로 용돈 벌기) 등이 인기를 끌었다.

디지털동행플라자는 교육뿐 아니라 어르신들의 다양한 체험과 커뮤니티 활동이 가능한 공간으로 구성됐다. 그 결과 재방문율 78%, 이용자 만족도 95점 등 방문자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

체험 프로그램별 선호도 조사 결과를 보면 로봇 바리스타가 27%로 가장 높고 스크린 파크골프(19%), 해피테이블(19%), 키오스크 체험(12%), 로봇 바둑(8%) 등이 뒤를 이었다.

시는 서북·서남센터의 성공적인 운영 성과에 힘입어 올해 디지털동행플라자 3개소를 추가로 조성해 디지털 격차 해소에 속도를 낸다.

최기찬 서울시의원, 오는 11월 서서울미술관 개관 앞두고 지역미술인들과 간담회 개최

최기찬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 금천2)이 지난 8일 오는 11월 개관을 앞둔 서서울미술관의 건립 및 개관 현황을 점검하는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최기찬 의원을 비롯해 서울시립미술관 정소라 학예부장, 박나운 서서울미술관 관장, 지역미술인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서울미술관의 개관 준비 상황과 향후 운영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서서울미술관은 금천구 독산동 1151번지 외 1필지(금나래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연면적 7186㎡, 부지면적 7370㎡(지상1층/지하2층) 규모로 서울시 유일의 ‘뉴미디어 특화 미술관’으로 건립되고 있다. 개관 전시로는 뉴미디어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미디어 특화 기관으로서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SeMA 퍼포먼스’와 ‘뉴미디어 소장품전’ 등이 계획되어 있다. 간담회에 참석한 지역미술인들은 서서울미술관이 단순한 전시공간을 넘어 지역주민과 예술가들이 함께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는 ‘지역참여형 공공미술관’으로 운영되기를 희망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최 의원은 “2015년부터 시작된 서서울미술관 건립 사업이 10년여의 기간을 거쳐 마침내 결실을 보게 되어 기쁘다”면서 “서서울미술관이 서남권의 문화격차를
thumbnail - 최기찬 서울시의원, 오는 11월 서서울미술관 개관 앞두고 지역미술인들과 간담회 개최

현재 자치구를 대상으로 추가 조성지를 공모 중이며, 이달 중 최종 선정 후 10월 개관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