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예비군부대 폭발... “폭음통 왜 모았나” 부사관 집중 조사

울산 예비군부대 폭발... “폭음통 왜 모았나” 부사관 집중 조사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16-12-14 08:48
업데이트 2016-12-14 08: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13일 군헬기가 울산 예비군훈련부대서 발생한 폭발사고로 부상당한 군인을 서울로 긴급 이송하고 있다.
13일 군헬기가 울산 예비군훈련부대서 발생한 폭발사고로 부상당한 군인을 서울로 긴급 이송하고 있다.
울산의 한 예비군훈련부대에서 13일 훈련용 폭음통 화약이 폭발해 현역병 23명이 다친 사건과 관련, 이 부대에서 탄약관리를 담당하는 A부사관을 군이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군은 A부사관이 폭음통 등 훈련용 화약을 폭발 지점에 따로 모아둔 사실을 확인하고 경위를 캐고 있다.

A부사관은 군 조사에서 “훈련용 폭음통 1500~1600개 안에 있던 화약을 모아 폭발 지점에 보관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 여름 이미 소진했어야 할 훈련용 폭음통이 남자 폭음통을 해체해 화약을 따로 모아 사고가 난 구조물 안에 보관했다고 군은 추정하고 있다.

군은 A부사관을 상대로 화약을 따로 모아둔 이유를 추궁하고 있다. 일단 훈련 때 소진하지 못한 분량을 몰래 처리하기 위해 임시로 보관했다는 추정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군 조사 당국은 폭발이 계획된 행위일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이 경우 공모자가 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또 화약을 모아둔 곳이 더 있을 수 있다는 추정도 할 수 있다.

훈련용 폭음통은 길이 5㎝, 지름 1.5㎝ 크기의 통에 7㎝짜리 도화선이 달린 형태다. 불을 붙여 던지면 포탄이나 수류탄이 떨어질 때 나는 소음을 낼 수 있어 훈련용으로 이용된다.

군은 전날 폭발 현장에서 채취한 잔류 화학물질 분석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의뢰했다.

전날 오전 11시47분쯤 울산시 북구 신현동 53사단 예하 예비군훈련부대에서 폭발이 발생해 낙엽 청소를 마치고 점심을 먹으려고 식당으로 향하던 병사 23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병사들은 모두 20~23세 현역 병사로 일부 병사는 2도화상을 입기도 했다. 폭발 직후 119구급대가 5명을 울산대학교병원으로, 부대 측이 15명을 울산시티병원으로 각각 옮겨 현재 치료 중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