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의 한 사단법인의 해외 어학연수에서 인솔교사가 학생들을 무차별 폭행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피해 학부모 10여명은 22일 필리핀 어학연수를 실시한 사단법인을 상대로 전북지방경찰청에 고소장을 접수했다.
이들은 “어학연수를 떠나기 전 설레서 잠도 못 이루던 아이들이 폭행을 당하고 돌아왔다. 연수 내내 어떤 고초를 겪었을지 생각만 하면 치가 떨린다”며 “법인은 공식으로 사과하고 상응한 처벌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경찰에 따르면 이 사단법인은 지난해 10월 18일 ‘겨울 영어권 어학연수 모집공고’를 냈다. 법인 홈페이지 등을 통해 소식을 접한 학부모들은 자녀 28명을 지난 1월 1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된 어학연수에 보냈다. 총 경비 390여만원 중 학부모들은 240만∼260만원을 부담했다.
하지만 출국한 아이들은 일주일 뒤 온몸의 통증을 호소했다. 학부모 A(39·여)씨에 따르면 아들 B(14)군은 어느 날 저녁 전화를 걸어 위축된 목소리로 인솔교사로부터 ‘폭행을 당했다’고 말했다. B군을 포함한 아이들이 방에서 장난을 치던 중 한 학생이 상처를 입었고, 이를 본 인솔교사가 B군의 뺨을 수차례 때렸다고 전했다. B군이 불쾌한 표정을 드러내자 인솔교사는 B군을 벽으로 밀치고 또다시 뺨을 7차례 때렸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인솔교사는 다른 학생들에게도 비정상적 언행을 일삼았다. 어학연수에 참여한 28명 중 초·중등생 10여명이 교사로부터 얻어맞았다. 폭행 이유도 갖가지였다. 아이들은 ‘라면을 먹었다’는 이유로 뺨을 맞았고, 쓰레기를 지정된 곳에 버리지 않아 가슴 등을 발로 걷어차였다. ‘누군가 내 모자를 구겼다’며 주변에 있던 아이들을 손과 발로 때리기도 했다. 어린 학생들은 ‘교사에게 반항하면 집에 돌아갈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휩싸여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한 아이는 연수를 마친 뒤 폭행 후유증으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앓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단법인 측은 “맞을 만한 이유가 있었기 때문에 인성교육 차원에서 때렸다. 이유 없이 폭행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