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래포구 무허가 가건물이 큰불 불렀다

소래포구 무허가 가건물이 큰불 불렀다

김학준 기자
입력 2017-03-19 17:52
업데이트 2017-03-20 0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프링클러 등 예방 시설 없어… 좌판 220곳·상점 20곳 등 소실

과거에도 전기 인한 화재 반복
임대료 年 100만원에 좌판 영업
소방당국, 변압기서 발화 추정

인천 남동구 ‘소래포구 어시장’에서 주말 새벽 좌판형 매장 220여개와 점포 20여곳이 소실되는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특히 2010년과 2013년에 잇따라 화재가 발생했음에도 제대로 대책을 세우지 못해 같은 재앙이 반복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미지 확대
소래포구 현장감식
소래포구 현장감식 19일 인천 남동구 소래포구 어시장 화재 현장에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으로 구성된 합동감식단이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지난 18일 일어난 화재는 소래포구 어시장 내 좌판상점 332곳 중 220곳을 잿더미로 만들었다. 일반 점포 41개 중 20개도 피해를 봤다.
연합뉴스
인천소방안전본부는 전날 오전 1시 36분쯤 소래포구 어시장에서 불이 났다고 19일 밝혔다. 인명피해는 없지만 좌판 332개 중 220여개가 불에 탔다.

앞서 2010년 1월 11일과 2013년 2월 13일에도 불이 나 각각 좌판 25곳과 36곳이 불에 탔다. 당시에도 전기로 인한 화제였다. ‘소래포구 어시장’은 구에 등록되지 않은 건축법상 무허가 가건물이다. 그런 탓에 불연소재로 인테리어를 한다든지 스프링클러 등을 설치해 화재 예방을 하는 등 시설을 갖추지 않아 화재에 취약하다.

국유지로 개발제한구역이지만 1970년대부터 형성된 좌판 상인들은 한국자산관리공사와 대부계약을 맺고 좌판당 연간 100만원가량의 임대료를 내고 영업하고 있다. 소래포구에는 종합어시장과 횟집, 조개구이 식당 등 정식 영업소가 있고 그곳에는 소화전 8대가 설치돼 있다.

특히 전기로 인한 화재에 가건물은 무방비로 노출된다. 소래 어시장은 업소마다 대형 냉동시설과 수조 등을 갖춰 콘센트, 전선, 변압기 등이 밀집해 있다. 소방당국은 이번 사고가 ‘가’ 구역 변압기에서 시작된 불이 천장으로 옮겨 붙으면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 화재가 나면 근본적인 대책을 세우기 전에 영업 재개를 위한 신속한 복구에만 치중해 화재가 잦다는 평가다.

좌판과 점포가 밀집된 어시장 구조도 화재를 키우는 데 한몫했다. 폭 2.6m의 소방도로가 있지만 도로변에도 좌판이 깔려 있어 소방차가 진입하지 못했다. 한 상인은 “무허가 가건물이라 화재 예방시설 확충 투자나 관심 등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김학준 기자 kimhj@seoul.co.kr
2017-03-20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