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에 판매되는 헬스사이클(실내 자전거)이 얼마나 운동을 했는지를 보여주는 칼로리 표시가 정확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운동 강도나 속도 변화에 따라 칼로리가 소모되는 정도의 차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서다.
이미지 확대
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이용주 한국소비자원 시험검사국 기계금속팀장이 국내에 판매되는 헬스사이클 비교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2017.12.5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이용주 한국소비자원 시험검사국 기계금속팀장이 국내에 판매되는 헬스사이클 비교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2017.12.5 연합뉴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8개 업체의 11개 헬스사이클 제품을 대상으로 칼로리 소모량 표시의 정확성, 페달·프레임의 내구성, 차체 강도, 페달의 강도, 소음 등의 등을 시험·평가한 결과를 5일 공개했다.
모든 조사 대상 제품이 운동 강도나 시간, 속도와 상관없이 총 페달 회전수가 같으면 같은 칼로리를 소모한 것으로 표시됐다. 예를 들어 운동 강도(단수)에 따라 실제 칼로리 소모량은 43∼150㎉로 달라졌지만, 표시된 칼로리는 97㎉로 일정했다.
소비자원은 “운동 시 계기판에 표시되는 칼로리 소모량이 실제 소모량보다 적게 표시되면 적정 운동량보다 많은 양의 운동을 하게 되며, 실제 소모량보다 많게 표시되면 운동을 많이 했다고 오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4개 업체(삼천리자전거, 이화에스엠피, 중산물산, 한성앤키텍)는 기술개발을 통해 칼로리 소모량 표시 정확성을 높이겠다고 소비자원에 전했다고 한다. 나머지 이고진, 은성헬스빌, 와이앤에어치는 특별한 답변이 없는 상태다.
일부 제품은 안전 상태도 미흡한 것으로 확인됐다. 만도스포츠의 ‘에스라인 슬림바이크’ 제품은 안장을 250㎏으로 5분 동안 눌렀을 때 안장을 지탱하는 프레임이 파손됐으며, 안전확인번호나 판매자명 등 표시사항도 없었다. 만도스포츠는 문제가 된 제품 판매를 중지하고, 이미 판매된 제품은 홈페이지에 공지해 무상 애프터서비스(A/S)를 하기로 했다.
반면 페달 내구성이나 강도는 모든 제품이 안전기준에 적합했으며, 소음도 33∼35㏈로 도서관이나 조용한 주택 소음보다도 낮은 수준이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