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수 출입 삼가”…술집이 ‘노(No)교수존’ 선언한 이유

“대학교수 출입 삼가”…술집이 ‘노(No)교수존’ 선언한 이유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1-12-08 07:44
수정 2021-12-08 07: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노 교수존(No Professor Zone) 등장
노 교수존(No Professor Zone) 등장 부산의 모 대학 인근 술집에 ‘노 교수존’ 공지문이 붙어 있다.
트위터 캡처
“정규직 교수님들은 출입을 삼가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어린이의 출입을 막는 ‘노(No)키즈존’, 학생들의 출입을 거부하는 ‘노 스쿨존’, 40대 중년 남녀의 예약을 받지 않겠다는 ‘노 중년존’ 캠핑장이 등장한 데 이어 ‘노 교수존’까지 나와 관심이 모아졌다.

최근 트위터에서는 부산의 한 술집이 ‘No Professor Zone’(노 교수존)이라고 공지한 글이 화제가 됐다.

이 술집은 부산 지역 모 대학 인근의 한 카페 겸 술집으로, 입구에 교수들의 ‘출입 자제’를 요청하는 공지문을 붙인 것이다.

공지문에는 “대단히 죄송합니다. 다른 손님들의 편안한 이용을 위해 ○○대학교 정규직 교수님들은 출입을 삼가주시길 부탁드립니다. 혹시 입장하신다면 절대 스스로, 큰소리로 신분을 밝히지 않으시길 부탁드립니다”라고 안내했다.

공지문 사진을 공개한 트윗은 8일 오전 현재 1만 5100회 이상 리트윗(공유) 됐다.

한겨레신문에 따르면 술집 업주는 ‘노 교수존’을 써붙인 이유에 대해 “매장을 운영한 뒤 이른바 ‘진상 손님’이 3명 있었는데, 모두 대학교수였다”면서 “(그들의) 직업을 알게 된 것은 ‘내가 여기 교수인데’라고 말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노 키즈존 등) ‘노 ○○존’이 혐오의 한 방식이라 생각해서 (노 교수존을) 시행하기 전 고민을 오래 했다. 교수 직업을 혐오하고 배척하는 게 아니라 ‘내가 낸데!’라고 소리치는 무례함에 대한 혐오를 표현하기 때문에 괜찮다고 생각했다”라고 덧붙였다.

해당 술집 주요 고객이 대학원생이라는 점도 고려했다고 업주는 전했다. 그는 “평소 대학원생 손님들이 과도한 업무와 교수의 ‘갑질’로 스트레스 받는 것을 많이 봤다. 쉬기 위해 들른 술집에서 담당 교수를 마주칠 수 있는 일이 없도록 하고 싶었다”라고 말했다.

‘노 교수존’ 공지를 붙인 뒤 대학원생 손님들로부터 “재밌다”는 반응을 자주 듣는다고 업주는 전했다.

한겨레는 당사자라 할 수 있는 인근 대학교수의 반응도 전했다. 한 교수는 “학생들이 마음 편히 얘기할 곳도 있어야 하지 않겠느냐. (노 교수존이) 기분 나쁘지 않고 오히려 재밌는 시도 같다”라고 말했다.

트위터에서는 “세상에, 교수님들이 무슨 짓을 한 거죠”, “모든 ‘노 ○○존’에 반대하지만 이건 왠지 큰 공감” 등의 반응이 나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