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 입은 넋들을 위한 추도사… 황학주 시인의 첫 시집 ‘사람’ 복간

상처 입은 넋들을 위한 추도사… 황학주 시인의 첫 시집 ‘사람’ 복간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입력 2024-01-10 13:42
수정 2024-01-10 13: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학동네 복간시집 시리즈 중 하나
35년 만에 다시 세상에 나와 관심

이미지 확대
황학주 시인의 첫 시집‘사람’이 문학동네 복간시리즈로 35년만에 다시 세상에 나왔다. 문학동네
황학주 시인의 첫 시집‘사람’이 문학동네 복간시리즈로 35년만에 다시 세상에 나왔다. 문학동네
혼자 사는 사람이니까 늘 마루에 햇볕을 들이고 싶은/나는/꿈이 서럽도록 가벼우니까/날이 얇아 깊이 찔러 넣은 꿈인줄 모르고/사랑의 피를 흘렸네/사랑은 혼자 사는 동작이 끼어드니까 밤새도록/비닐봉지 같은 정신의 가운데가 째진 다음/웃어봐 내가 주었던 작은 눈물들이/뭉개진 고구마 살처럼 진하고 큰 줄 모르고(황학주 시인의 ‘사랑’).

1987년 ‘청하’에서 출간됐던 황학주 시인의 시집 ‘사람’이 35년 만에 문학동네 복간 시집 시리즈 ‘문학동네포에지 084’로 복간되어 다시 세상에 나왔다.

문학동네는 “이미 절판되어 오래된 명성으로만 만날 수 있었던 시들, 동시대를 대표하는 시인들의 젊은 날의 아름다운 연가(戀歌)가 여기 되살아난다. 우리를 벅차게 했으나 이제는 읽을 수 없게 된 옛날의 시집을 되살리는 작업 또한 그리움의 일이다”는 기획의 말과 함께 9차분 열 권의 시집을 지난 연말에 세상에 내놓았다. 황 시인의 첫 시집 ‘사람’외에도 유안진·이시영·강기원·김이듬·엄원태·박시하·전동균·김은주·정해종 시인의 시집이 포함돼 있다.

황 시인은 당시로는 드물게 기성 등단 제도를 통하지 않고 시집 ‘사람’으로 문단에 나왔으며 “상처에 대한 개인적 체험을 사회라는 보편적 체험인 1980년대 5·18항쟁과 연관, 확장시키고자 하였으면서도, 그 시대 민중 시인들과 전혀 다른 독자적인 서정시의 세계를 펼쳤다”는 시단의 평가와 함께 그 이름을 알렸다.

시인이자 평론가인 장석주는 시집 ‘사람’의 해설에 ‘상처 입은 넋들을 위한 추도사’라는 제목을 달고 “여기 놀랄 만한 새로운 시인이 있다!” 며 운을 뗐다. 그리고 ”황학주의 시를 읽는 즐거움은 1차적으로 그의 시적 표현, 비약과 단절의 수사학이 두드러지는 묘미를 음미하는 데서 찾을 수 있을 것이나, 그러나 진짜 그 시세계의 독작적인 의미와 가치는 황학주에 의해 체계화된 우리 삶의 진실한 모습일 것이다. 황학주의 ‘사람’은 우리 시대의 상처받은 삶의 기록이다. 그만큼 그의 시집은 비극적인 정서로 충만되어 있다. 상처, 그 손상당한 삶을 고요히 껴안고 눈물어린 눈으로 우리 삶의 보편의 지평을 응시하고 있는 그의 시들을 읽는 것은 우리가 우리 시대의 삶의 훼손, 그 고통을 동의하는 그만큼 대단히 고통스러운 경험이었다. 일찍이 이성복의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에 의해 그 구체적 모습을 드러냈던 한국근대 역사체험으로서의 우리 시대의 삶의 상처, 삶의 고통이 다시 황학주의 ‘사람’에 와서 더 깊고 진지한 표현으로 활짝 꽃피고 있는 것을 보는 것은 고통스럽게 감동적”이라고 평했다.

독특한 어법과 돌발적인 이미지 구사 등으로 한국 서정시에 다채로움을 더했다고 이야기되는 황 시인은 첫 시집 ‘사람’ 이후에 11권의 시집을 더 펴냈다. 그의 작품에 대해 “애매성의 매혹”(이광호), “서정적 서사시의 개척자”(박덕규), “미학주의와 허무주의의 찬란한 융합” “독거의 아름다운 높이와 깊이”(이숭원), “사랑을 가장 수준있게 다루는 시인”(이혜원) 등등의 여러 평가가 있다.



황 시인은 서울여대 국문학과 겸임교수, 국제구호단체 피스프렌드 회장 등을 지내다 은퇴하고 2014년 제주로 이주해 현재 조천읍에서 살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2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