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보다 생명과학·보안전문가”… 꿈이 다양해졌네

“의사보다 생명과학·보안전문가”… 꿈이 다양해졌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6-12-20 22:38
업데이트 2016-12-20 23: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초·중·고 희망직업 조사

고교생 과학자 3위·보안 6위 꼽아
“4차 산업혁명·이공계 장려 영향”
의사·판검사 등 쏠림현상도 줄어
교사는 10년째 희망직업 1위


이미지 확대


학생들의 희망직업이 달라지고 있다. 의사나 판검사의 인기가 줄어드는 반면, 생명과학자나 보안전문가 등을 선호하는 현상은 두드러진다. 4차 산업혁명에 접어들면서 과학기술이 주목받고 정부가 이공계를 장려하는 정책을 추진하면서 학생들의 희망 직업도 바뀌는 것으로 플이된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20 16년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2007년 시작한 이 조사는 2009년과 2012년 시행됐고, 2014년부터는 매년 해 오고 있다. 여섯 번의 조사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이공계통 직업들의 약진이다. 초등학생의 경우 2007년 10위권에 들지 못했던 ‘자연과학·생명과학 관련 전문가’가 2014년 7위를 기록했고, 2015년과 올해에는 ‘과학자’가 8위와 9위에 각각 올랐다.

중학생의 경우 자연과학·생명과학 관련 전문가가 2014년 9위에 오른 뒤로 올해는 7위로 뛰었다.

대학 진학을 앞둔 고교생은 특히 다양한 이공계 직업을 희망했다. ‘공학관련 엔지니어’는 2007년 9위였다가 2012년 6위로 뛰었고, 2014년에는 자연과학·생명과학 관련 전문가가 처음으로 7위를 기록하고서 올해에는 3위로 급등했다. ‘정보시스템 및 보안전문가’는 2015년 처음으로 4위에 오른 뒤 올해 6위를 기록했다. 또 올해에는 지난 10년 동안 한 번도 10위권에 들지 못한 ‘기계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이 처음으로 9위를 차지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 도래 등 미래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이 커진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의사나 법조인(판검사, 변호사)은 여전히 희망직업의 상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이들 직업을 희망직업으로 선택한 학생의 비율은 10년간 모든 학교급에서 줄었다. 의사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경우 2~5위를 기록했으나 고등학생들에게는 6~8위에 그치거나 아예 순위에서 빠지는 해도 있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관계자는 “의사나 법조인 모두 상위권 성적을 거둬야 가능한 직종인 까닭에 다수의 학생들이 현실을 받아들인 결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다만 초·중·고를 막론하고 학생들이 가장 희망하는 직업은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여전히 교사였다. 올해 초등학생의 희망직업은 교사에 이어 운동선수, 의사, 요리사, 경찰, 법조인 등 순이었다. 중학생은 교사, 경찰, 의사, 운동선수, 군인 순이었으며 고등학생은 교사, 간호사, 생명·과학자 및 연구원, 경찰, 군인 순이었다.

전체 희망직업 중 상위 10개 직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초등학생은 2007년 71.8%였지만 올해는 50.6%로 줄었다. 중학생은 59.4%에서 44.8%, 고등학생은 46.3%에서 41.9%로 줄었다. 희망 직업이 특정 직업에 쏠리는 현상은 줄어들면서 희망직업이 다양화한 것이다.

한편 올해 조사는 초·중·고 1196개교의 학생과 학부모, 교사 4만 8739명을 대상으로 지난 6월 22일부터 7월 29일까지 온라인으로 이뤄졌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6-12-21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