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국어 어려웠다… 1등급 4815명 감소

수능 국어 어려웠다… 1등급 4815명 감소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0-12-22 22:30
업데이트 2020-12-23 06: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4.7% 최고 결시율 영향… 대입 변수

이미지 확대
[수능] 차분하게 시험 준비
[수능] 차분하게 시험 준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3일 오전 대전시 서구 괴정동 괴정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2020.12.3 대전시교육청 제공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결시율이 역대 최고치인 14.7%를 기록했다. 대입에서 수능의 영향력이 줄어드는 가운데 코로나19 감염 우려가 맞물린 결과다. 채점 결과 국어와 수학 가형이 예상보다 어려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수능에선 국어가 변수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이런 내용의 ‘2021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이번 수능은 49만 3433명이 지원해 42만 1034명이 응시, 최종 결시율은 14.7%를 기록했다. 수능 결시율은 2019학년도 10.9%, 2020학년도 11.7% 등 매년 높아지는 추세이나 이번 수능은 상승폭이 가팔라졌다. 교육계에서는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수능 성적이 필요 없는 수험생이 응시하지 않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초 입시업계에서는 결시율이 15% 안팎까지 치솟으면 입시 지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상위 등급 인원이 줄어 수시모집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수험생들이 속출하고, 정시모집에서 수시 이월 인원이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국어영역 1등급 인원이 4815명(20.7%) 줄어드는 등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는 전형에 지원한 수험생들에게 결시율에 따른 등급 인원 증감이 큰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국어영역 표준점수 최고점(144점)이 전년도보다 4점 오르는 등 국어와 수학 가형이 어렵게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원은 “‘중위권 붕괴’ 현상이나 재학생과 졸업생 간 격차 등 코로나19로 인한 학력 격차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20-12-23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