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와 미세먼지가 뒤섞인 짙은 흙먼지가 23일 전국을 뒤덮었다. 경남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국에 황사주의보가 발령됐고, 오전에는 서울·경기·인천·강원 일부 지역에 황사경보가 내려지기도 했다. 이날 오후 10시를 기해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황사주의보가 해제됐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4시 기준 서울의 미세먼지(PM-10) 농도는 1044㎍/㎥까지 치솟았다. 지금까지 가장 강력했던 겨울 황사인 2009년 12월 25일의 미세먼지 농도 963㎍/㎥를 훌쩍 뛰어넘어 최악의 겨울 황사로 기록됐다. 5년 만에 가장 강력한 흙먼지가 엄습한 이날 시민들은 최대한 외부 공기를 흡입하지 않으려고 마스크로 얼굴을 동여맨 채 발걸음을 재촉했다.
통상 봄에 불청객처럼 찾아오던 것과 달리 이번 황사는 겨울에 발생한 데다 기간이 길고 강도도 이례적이다. 몽골 고비사막과 중국 내몽골 고원 등 황사 발원지의 최근 일주일간 강수량이 1㎜에 그쳐 미세한 흙먼지가 일어난 상태에서 상층에 저기압이 통과하면서 흙먼지를 지표면 2.5㎞ 상공으로 띄웠고, 때마침 강한 북서풍이 불어 한반도 상공까지 끌고 왔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기상청은 24일까지 옅은 황사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4시 기준 서울의 미세먼지(PM-10) 농도는 1044㎍/㎥까지 치솟았다. 지금까지 가장 강력했던 겨울 황사인 2009년 12월 25일의 미세먼지 농도 963㎍/㎥를 훌쩍 뛰어넘어 최악의 겨울 황사로 기록됐다. 5년 만에 가장 강력한 흙먼지가 엄습한 이날 시민들은 최대한 외부 공기를 흡입하지 않으려고 마스크로 얼굴을 동여맨 채 발걸음을 재촉했다.
통상 봄에 불청객처럼 찾아오던 것과 달리 이번 황사는 겨울에 발생한 데다 기간이 길고 강도도 이례적이다. 몽골 고비사막과 중국 내몽골 고원 등 황사 발원지의 최근 일주일간 강수량이 1㎜에 그쳐 미세한 흙먼지가 일어난 상태에서 상층에 저기압이 통과하면서 흙먼지를 지표면 2.5㎞ 상공으로 띄웠고, 때마침 강한 북서풍이 불어 한반도 상공까지 끌고 왔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기상청은 24일까지 옅은 황사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5-02-24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