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에서 북쪽으로 45㎞ 정도 떨어진 추자도는 4개의 유인도와 38개의 무인도로 이뤄져 있다. 어종이 풍부해 바다 낚시터로 일본까지 소문난 지역이기도 하다.
매(멸종위기종Ⅰ급, 천연기념물 제323-7호)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매(멸종위기종Ⅰ급, 천연기념물 제323-7호)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제공
바다 낚시터로만 유명한 줄 알았던 추자도가 한반도 생물다양성의 보고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주목받고 있다.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 한국사무국이 주관하고 대전 국립중앙과학관, 국립수목원, 문화재청,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국내 생물다양성 분야 전문가 80여명이 지난 5월 28일~6월 1일까지 4박 5일간 상추자도, 하추자도, 횡간도, 추포도 4개 유인도를 중심으로 조사를 실시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8일 밝혔다.
꼬마호랑거미(국가기후변화생물지표종)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꼬마호랑거미(국가기후변화생물지표종)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제공
추자도는 지리학적으로 제주해역을 거쳐 오는 쿠로시오 난류의 한 가지인 쓰시마 난류의 영향으로 겨울에도 해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지 않아 생물다양성이 높은 지역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또 한반도와 제주도 중간에 위치해 생물 진화과정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지역이지만 이번 같은 대규모 생물다양성 조사는 2003년 이후 처음이다.
공동연구팀에 따르면 추자도에는 조류 54종 식물 242종, 곤충 120종, 어류 25종, 버섯 35종, 거미 17종 등 약 490종의 희귀 동식물들이 서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식물은 두루미천남성, 섬오갈피, 덩굴민백미꽃, 눈향나무, 낚시돌풀 등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7종, 갯돌나무, 제주산딸기 등 특이식물 4종을 포함한 78과 242종을 확인했으며 버섯은 19과 23속, 35종이 관찰됐다.
주머니나방(Nipponopsyche fuscescens) 유충. 이번 탐사에서 처음 발견된 한국미기록종이다.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주머니나방(Nipponopsyche fuscescens) 유충. 이번 탐사에서 처음 발견된 한국미기록종이다.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제공
곤충의 경우 연구팀이 다수의 주머니나방 유충을 발견했는데 DNA 분석결과 한국미기록종으로 확인돼 정확한 분류학적 분석을 마치고 국제학술지에 보고할 게획이다. 거미 역시 기후변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지표종인 산왕거미 꼬마호랑거미 등 8과 12속 17종이 관찰됐다.
배태민(국립중앙과학관 관장)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회장은 “이번 공동학술조사를 시작으로 한반도와 제주도 자생종을 분류하고 계통 및 생물지리학적 분석을 할 계획”이라며 “주기적 조사와 관찰을 통해 생물상 변화추이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해 데이터베이스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공동연구팀은 오는 9월에 2차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