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 전자파 높아져…나머지 가열시간엔 안전
IH(전자 유도가열 방식) 전기밥솥으로 밥을 할 때는 취사 10분쯤부터는 밥솥에서 멀리 떨어져야 전자파 노출로부터 안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생활제품과 유아동 시설·대형쇼핑몰 등 생활환경 전자파 노출량을 측정한 결과, 모두 전자파 인체보호기준을 만족했다고 28일 밝혔다.생활제품 13종의 전자파 발생량은 모두 기준 대비 1 ~ 2% 수준으로 전자파 인체보호기준을 만족했다. 다만, 순간적 가열이 필요한 헤어드라이어, IH 전기밥솥은 인체보호기준을 만족했지만, 제품 특성상 일반 가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자파가 발생했다.
특히, IH 전기밥솥은 가열 시간(제품 동작 후 약 10분, 30~60㎝ 이격)에는 전자파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인체보호기준 대비 최대 25%)으로 나타났다. 가열시간 이후 나머지 취사시간이나 보온상태에서 전자파 발생은 일반가전과 유사한 인체보호기준 대비 1 ~ 2% 수준으로 안전했다. 따라서 취사동작 직후에는 IH 전기밥솥 가까이 접근하지 않는 것이 전자파 노출에서 안전할 수 있다고 과기부는 설명했다.
제품별로 인체보호기준 전자파 발생량은 살균기(0.17%), 공기(공간) 살균기(0.18%), 전자피아노(0.23%), 식기세척기(0.29%), 가습기(0.29%), 온수매트(0.22%), 전기 라디에이터(0.24%), 온풍기(0.33%), 전기방석(0.34%), 제습기(1.18%), 전기 매트(2.71%), 헤어드라이어(5.42%), IH 전기밥솥(1~25%) 순으로 나타났다.
생활환경 전자파 측정 결과는 유아동 시설과 버스터미널, 대형쇼핑몰 등은 모두 안전했다. 또 이동통신 기지국별로는 5G 기지국 근처에서 전자파가 많이 발생할 것이라는 주장과 달리 4G 기지국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자파에 측정결과는 국립전파연구원 ‘생활 속 전자파’ 홈페이지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전자파 안전정보’ 홈페이지(emf.kca.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