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수목원 열대온실의 ‘다윈난’이 9일 첫 개화했다.
국립세종수목원 열대온실에 핀 다윈난. 국립세종수목원 제공
다윈난은 마다가스카르가 원산지이며 나무·바위·돌 등에 붙어 서식하는 착생난으로 영국의 생물학자 찰스 다윈이 발견해 진화론 연구에 실마리를 제공해 이름붙여졌다. 꽃이 별 모양으로 특이하고 아름다우며 향기가 강한 특징이 있다.
난을 처음 발견한 다윈이 꽃받침이나 꽃잎의 밑부분에 길게 돌출된 곳에 든 꿀을 먹는 곤충이 있을 것으로 추론했는데 다윈 사망 41년 후 20㎝ 이상 긴 주둥이를 가진 나방이 발견됐다. 서로 적응하고 진화하며 공생하는 대표적 사례로 평가받는다.
다윈난은 겨울철 잎겨드랑이에서 꽃자루가 나와 큰 별 모양의 꽃이 피는데 모양이 크리스마스 트리와 비슷해 크리스마스 난, 베들레헴의 난이라고도 불힌다. 개화한 다윈난은 2주간 만나볼 수 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국립세종수목원 열대온실에 핀 다윈난. 국립세종수목원 제공
난을 처음 발견한 다윈이 꽃받침이나 꽃잎의 밑부분에 길게 돌출된 곳에 든 꿀을 먹는 곤충이 있을 것으로 추론했는데 다윈 사망 41년 후 20㎝ 이상 긴 주둥이를 가진 나방이 발견됐다. 서로 적응하고 진화하며 공생하는 대표적 사례로 평가받는다.
다윈난은 겨울철 잎겨드랑이에서 꽃자루가 나와 큰 별 모양의 꽃이 피는데 모양이 크리스마스 트리와 비슷해 크리스마스 난, 베들레헴의 난이라고도 불힌다. 개화한 다윈난은 2주간 만나볼 수 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