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적 추적관찰 필요… 고주파 시술 땐 당일 퇴원
대한갑상선학회는 얼마 전 크기가 5㎜ 이하인 갑상선 결절은 암이 의심되더라도 적극적인 검사나 치료보다 추적 관찰을 권한다는 새로운 치료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일선 의료 현장에서는 “이 가이드라인을 모든 상황에 기계적으로 적용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에 있어 결절의 크기가 가장 중요한 잣대인 것은 맞지만 결절의 수나 모양, 위치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여기에다 환자가 이미 확인된 결절에 대해 갖는 불안감도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결절이 5㎜ 이하라면 적극적인 치료를 하지 않더라도 6개월∼1년 단위로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한데, 실제로 환자들은 “내 몸에 암이….”라는 생각에 이를 무척 부담스러워한다. 갑상선암은 성장 속도가 느려 정기검사로 암 진행이 확인됐을 때 치료해도 예후에 큰 차이는 없지만, 환자 입장에서는 암일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감당해야 하기 때문이다.
주형로 박사는 “최종적인 치료 방법은 이런 주관적·객관적인 요인을 모두 고려해 결정한다.”면서 “물론 암으로 확인될 경우 수술이 최선이며, 제거가 필요한 양성 결절은 고주파로 치료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주 박사는 “과거에는 양성 결절도 수술로 제거했지만, 목 부위를 절개해 흉터가 쉽게 드러나는 단점이 있었다. 또 갑상선이 성대 신경과 인접해 수술 과정에서 더러 손상되기 때문에 흔하지는 않지만 수술 후 목소리가 변하거나 자주 사레들리는 부작용도 있었다.”면서 “이에 비해 고주파 열치료는 결절에 직경 1㎜ 정도의 가는 바늘을 꽂은 뒤 고주파를 발생시켜 이를 태워 없애는 시술로, 흉터가 남지 않고 효과와 안전성도 만족스럽다.”고 소개했다.
최근의 임상연구 결과, 고주파 시술 후 결절의 부피가 평균 70% 이상 감소했으며, 특징적인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 시술 시간은 결절의 크기와 개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부분 마취 후 약 30분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입원 없이 치료 후 당일 귀가할 수 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1-09-2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