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조직기증본부 1000명 설문
“인체조직 기증은 가장 숭고한 사랑의 실천입니다.” 한국인체조직기증지원본부 박창일 이사장의 말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국내 사정은 기대와는 크게 다르다. 이타적인 삶에 익숙하지 않은 탓이다. 인체조직기증지원본부가 최근 실시한 국민 인식도 조사에서도 10명 중 7명은 인체조직 기증이 생소하다고 답했다. 리서치 전문 마크로밀엠브레인과 공동으로 실시한 이번 설문조사는 전국 만 20세 이상 온라인 패널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18일부터 3일 동안 진행됐다.

한국인체조직기증운동본부 심벌. 소중한 기증으로 여러 사람에게 제2의 삶을 주는 사랑의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러나 응답자들에게 인체조직 기증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한 뒤에는 인식이 크게 바뀌었다. 정보 제공 전에는 34.4%(344명)만이 인체조직 기증 서약에 긍정적이었다. 이 중 ‘꼭 서약할 것’이라고 답한 사람은 4.3%(43명)에 불과했다. 조직 기증에 긍정적인 이유로는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주고 싶어서’ 42%(145명), ‘한 사람이 100명을 살릴 수 있어서‘ 24%(85명), ’사후에는 신체적 의미가 없으므로’ 16.9%(58명) 등을 주로 꼽았다. 반면 부정적인 응답자들이 든 이유로는 ‘신뢰할 수 없어서’ 40.5%(64명), ‘시신 훼손이 우려돼서’ 19%(30명), ‘가족이 반대할 것 같아서’ 17.7%(28명) 등을 들었다.


응답자들은 대부분 인체조직 기증의 중요성은 인식하면서도 서약이나 실제 기증으로 이어지는 관심도는 장기기증보다 낮았다. 인체조직 기증의 중요성을 5점 척도로 파악한 결과 4.14점으로 매우 높았으나 관심도는 3.51점으로, 장기기증 관심도(3.64점)보다 낮았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고연령층일수록 생명 나눔에 긍정적인 성향을 보여 주목됐다. 고연령층인 50~60대가 기증 중요성과 관심도에서 20~40대보다 높았으며, 이는 서약 및 실제 기증에도 반영됐다. 그런가 하면 유가족 기증 동의에 대해서도 20~40대는 35.8%에 그친데 비해 50~60대는 53.7%가 동의해 큰 격차를 보였다.
현재 국내 인체조직 기증 희망 서약자는 11만 5895명으로 장기기증 희망 등록자 88만 9616명의 8분의1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런 가운데 2011년 현재 국내 인체조직 기증자는 234명에 그쳤으며, 유통된 전체 인체조직 이식재 중 76%가 수입됐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3-01-07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