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역 유행 ‘비상’…환자 작년의 2배로 늘어

홍역 유행 ‘비상’…환자 작년의 2배로 늘어

입력 2014-05-26 00:00
수정 2014-05-26 15: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학생이 32%…연내 중·고생 예방접종 진행

열과 발진을 동반하는 홍역이 최근 학교를 중심으로 유행 조짐을 보이자 보건·교육 당국이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나섰다.
26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 국내 홍역 환자는 모두 225명으로, 이미 지난해 전체 인원(107명)의 두 배를 넘어섰다. 사진은 12일 서울 성북구 국민대학교 종합복지관에 설치된 홍역 진료소에서 학생들이 진료를 받고 밖으로 나서는 모습. 연합뉴스
26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 국내 홍역 환자는 모두 225명으로, 이미 지난해 전체 인원(107명)의 두 배를 넘어섰다. 사진은 12일 서울 성북구 국민대학교 종합복지관에 설치된 홍역 진료소에서 학생들이 진료를 받고 밖으로 나서는 모습.
연합뉴스


26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 국내 홍역 환자는 모두 225명으로, 이미 지난해 전체 인원(107명)의 두 배를 넘어섰다.

보건당국은 홍역이 크게 유행하는 필리핀·베트남 등 동남아 지역 여행자들을 통해 바이러스가 유입되고, 이들이 드나드는 병원과 학교 등을 통해 2차 전파가 이뤄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특히 학교에서는 지속적으로 가까운 거리의 감염자와 바이러스에 노출될수 밖에 없는 만큼, 각별히 주의해야한다는 게 정부와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홍역 예방접종 이력이 있더라도 1% 미만의 확률로 홍역을 앓는데, 활동에 큰 불편을 느끼지 않을 만큼 가벼운 증상을 겪는 이들 학생이 계속 등교하면 학교 안에서 빠르게 감염자가 늘어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복지부와 교육부는 학부모들에게 자녀가 의료기관에서 홍역 진단을 받은 경우 학교·학원에 가는 것을 막고 집이나 병원 등에서 격리 치료해 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또 중·고등학생 가운데 홍역 예방접종(2회)을 마치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올해 안에 보건소에서 예방 접종도 진행한다.

정부는 의료기관들에도 “의심환자를 진료하면 반드시 보건소에 신고하고 환자를 격리한 상태에서 치료해달라”고 요청했다. 같은 병원을 찾은 미접종 상태의 영유아들이 함께 감염되는 등의 의료기관내 전파 사례도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현재 중고교생, 대학생의 대부분이 홍역 예방접종을 마친 상태라 대규모 유행 가능성은 낮지만, 일부 미접종자나 면역력이 떨어진 학생들을 중심으로 소규모 집단 발병이 우려되므로 학교와 의료기관, 지역사회가 함께 예방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