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신생아 출생 후 12시간 내 B형간염 예방접종해야

[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신생아 출생 후 12시간 내 B형간염 예방접종해야

입력 2016-09-04 17:34
업데이트 2016-09-05 01: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C형 간염 집단감염 사태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C형 간염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사실 우리 국민에게 가장 흔한 간염은 B형 간염이다. B형 간염은 혈액과 체액을 통해 감염되는 심각한 바이러스 질환이다. 우리나라 성인의 약 10%가 이 바이러스에 감염돼 있으며 감염된 많은 사람에게서 아무런 증상이나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간은 우리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5000가지 이상의 일을 한다. 간염 바이러스가 간세포를 망가뜨리면 간세포가 더는 기능을 하지 못한다. 건강한 간세포가 줄면 신체의 많은 부분이 영향을 받는다. 처음 나타나는 징후는 대개 피로 정도다. 하지만 점점 음식물을 소화하고, 감염에 대항하고, 에너지를 저장하고, 우리 몸의 독소를 제거하는 기능에 이상이 발생한다. 간이 심하게 손상되면 복수가 차서 붓게 되고 간성혼수가 나타날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간경화나 간암도 유발할 수 있다.

B형 간염 바이러스는 감염된 산모에게서 태아로 전파될 수 있고 성관계를 통해서도 전파된다. 임신부는 B형 간염 검사를 받아야 하고 모든 신생아는 되도록 출생 후 12시간 내에 B형 간염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 일단 감염되면 예방접종은 효과가 없다.

소아과 학회에선 모든 신생아, 영아, 소아, 청소년에게 B형 간염 예방접종을 권장한다. B형 간염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혈액과 접촉하거나 면도날, 칫솔, 소독하지 않은 주삿바늘을 통해서도 전파된다. B형 간염 예방접종을 하면 적어도 10~20년은 B형 간염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

B형 간염 예방접종은 소아마비, 독감, 볼거리, 홍역, 풍진 예방접종을 할 때 함께 받는다. 총 3회 받아야 하며 첫 예방접종 후 1개월 후에, 다시 6개월 후에 예방접종을 한다. 만약 가족 중 B형 간염 감염자가 있다면 다른 가족에게 전파됐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가족 구성원 모두 B형 간염 검사를 받아야 한다. 그리고 괜찮다면 반드시 예방접종을 한다.

■도움말 김경모 서울아산병원 소아일반과 교수
2016-09-05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