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나눔] 자궁경부암 백신 맞는 남성… 개념남 인증 vs 바람둥이 낙인

[생각나눔] 자궁경부암 백신 맞는 남성… 개념남 인증 vs 바람둥이 낙인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16-09-21 22:50
업데이트 2016-09-22 01: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음달 15일 결혼하는 직장인 임모(29)씨는 예비 신랑에게 자궁경부암 예방주사를 맞히기 위해 최근 산부인과를 찾았다. 예비 신랑은 “남자는 자궁도 없는데 무슨 주사냐. 혹시 나를 바람 피울 만한 사람으로 보는 것 아니냐”며 ‘저항’했지만 임씨의 고집을 꺾지 못했다. “자궁경부암 바이러스가 성관계한 남성에게서 옮겨 올 수 있다는데 당연히 함께 예방주사를 맞아야죠. 자궁경부암 백신이 아니라 인유두종바이러스(HPV) 백신이라고 불러야 합니다.”

이미지 확대
주부 이모(55)씨도 결혼을 앞둔 아들(28)에게 최근 자궁경부암 주사인 ‘가다실’을 맞혔다. 그는 “남편과 주변 친구들이 유별나다고 하던데 젊은 부부가 만에 하나 생길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하면 좋지 않으냐”고 했다.

자궁경부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여성뿐 아니라 배우자도 예방주사를 맞아야 한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남성들의 접종이 점차 늘고 있다.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이 백신을 맞아야 ‘개념남’이라는 통념도 생겼다. 하지만 모든 남성을 바람둥이로 낙인 찍는 것 아니냐는 반발도 여전하다.

통상적으로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인유두종바이러스는 성관계를 통해 전파된다. 따라서 호주, 미국, 르완다 등에서는 남녀 모두를 국가 필수예방접종 대상으로 삼고 있다. 자궁경부암은 전 세계 여성암 중 두 번째로 발병자가 많고, 국내에서 해마다 여성 900여명이 이 병으로 사망한다.

반면 우리나라는 남성도 맞는 게 좋다는 정도의 접종 지침만 있고 관련 홍보는 거의 없다. 두 번 접종에 30만~40만원을 내야 하지만 지난 6월부터 시작된 무료 접종 대상은 만 12세 여자 어린이에 한정된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백신 접종에 부정적인 남성이 대다수다. 직장인 정모(33)씨는 “취지는 이해하지만 여성도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는데, 남성만 병원 매개체로 표현되는 게 언짢다”고 말했다. 박모(39)씨는 “결혼 전에 부부가 같이 맞으러 가던데 몰라서 맞지 못했다”며 “이왕이면 국가에서 남성도 무료로 접종해 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태중 삼성의료원 산부인과 교수는 “남성이 백신을 맞으면 전체적으로 여성의 자궁경부암 감염률을 낮출 수 있다”며 “백신은 자궁경부암 외에 항문암, 성기암, 두경부 종양(뇌를 제외한 머리와 목 부위에 발생하는 종양) 등 관련 질환에도 효과가 있어 남성에게도 좋다”고 설명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6-09-22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