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발생률 5년 내 최저… 평생 암 걸릴 확률은 36%

암 발생률 5년 내 최저… 평생 암 걸릴 확률은 36%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6-12-20 21:50
업데이트 2016-12-21 00: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 국민 암 발생률이 3년 연속 하락해 2014년 암 환자 수가 인구 10만명당 300명 이하로 떨어졌다.

이미지 확대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가 20일 발표한 ‘2014년 암 발생률·생존율·유병률 현황’에 따르면 인구 10만명당 신규 암 환자 수는 2012년 323.3명, 2013년 314.1명, 2014년 289.1명으로 집계됐다. 암 환자 수가 300명 밑으로 내려온 것은 2009년 이후 5년 만에 처음이다.

전국 단위로 암발생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99년부터 2012년까지 암 발생률은 연평균 3.6% 증가했으나, 2012년부터 2014년까지 2년간은 6.5%씩 감소했다.

복지부는 “갑상선암 과잉 진단 논란으로 갑상선암 발견·수술 건수가 줄어들어 전체 암 발생률도 급격하게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갑상선암 환자 수는 2013년 3만 4320명이었지만, 의료계 일부에서 갑상선암 과잉 진단 문제를 제기한 2014년 1만명쯤 줄어 환자 수가 2만 4632명을 기록했다.

유방암을 제외한 국가암검진 대상 암도 발생률이 모두 낮아지고 있다. 자궁경부암 발생률은 1999년부터 연평균 3.7%씩 떨어졌고, 남자 위암과 대장암 발생률도 2011년 이후 6.3%, 8.1%씩 감소했다. 1990~2014년 암 유병자는 모두 146만 4935명으로 2014년 기준 전체 인구의 2.9%(남자 2.5%, 여자 3.2%)를 차지했다. 우리나라 국민 35명당 1명이 암을 앓은 적이 있거나 현재도 앓고 있다는 의미다. 한편 우리 국민이 기대수명(82세)까지 생존할 때 암에 걸릴 확률은 36.2%였으며, 남자(79세)는 5명 중 2명(38.7%), 여자(85세)는 3명 중 1명(33.1%)에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12-21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