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으로 잡는 건강] 유방암 환자의 안면홍조·수면장애에 침 치료 도움

[한방으로 잡는 건강] 유방암 환자의 안면홍조·수면장애에 침 치료 도움

입력 2016-12-25 17:44
업데이트 2016-12-25 17: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면홍조는 순간적으로 얼굴이 달아오르는 것으로, 갱년기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혈관운동신경증상의 일종이다. 항암화학요법, 호르몬치료 등의 암 치료를 받는 환자나 유방암 약물치료 중인 환자에게서 흔히 발생한다. 유방암 환자의 안면홍조에는 ‘가바펜틴’이나 항우울제 등을 처방하는데 약물 복용 중에 메스꺼움, 졸림, 어지러움, 구강 건조, 두통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안면홍조 증상이 심신의 부조화 때문에 발생한다고 본다. 갱년기 안면홍조의 원인을 신허(신장의 기운이 약한 상태)로 보거나 혈관운동신경증상에 주목해 어혈로 보기도 한다. 침은 암 치료에도 보조적으로 사용하며 암 환자의 안면홍조도 침으로 치료할 수 있다. 유방암 환자의 안면홍조에 대한 침 치료 효과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됐다. 최근 매일 안면홍조를 경험하면서 수면장애까지 있는 유방암 환자에게 전기침 치료를 한 결과 환자의 수면대기시간과 수면효율이 개선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13년 대구가톨릭대와 대구한의대 연구진이 약물치료 중 안면홍조가 발생한 유방암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4주간 3회 침 치료를 한 결과 환자의 안면홍조 심각도가 70~75% 감소했다고 한다.

그간의 안면홍조 침 치료 연구 결과를 종합한 ‘체계적 문헌고찰’도 발간됐다. 4건의 문헌고찰은 ‘확고한 결론을 위해선 추가적인 연구를 해야 하지만 침 치료가 안면홍조 개선에 효과가 있다’라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 유방암 치료 중 안면홍조가 발생한 경우 약을 추가로 사용하기가 꺼려지거나 부작용이 발생했다면 침 치료를 고려해 볼 필요도 있다.

■도움말 공병희 사랑채움한의원 원장

2016-12-26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