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상 부족해도… 민간병원 활용 머뭇대는 정부

병상 부족해도… 민간병원 활용 머뭇대는 정부

강국진 기자
강국진, 이현정 기자
입력 2020-12-15 22:26
업데이트 2020-12-16 03: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환자 병상 서울 2개 등 43개 불과
“민간 전공의 동원 계획 밝힌 적 없다”

경증환자 항체치료제 연말 전후 투여
식약처 셀트리온 ‘CT-P59’ 사용 승인

이미지 확대
손영래 중수본 전략기획반장이 방역조치 강화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제공. 연합뉴스
손영래 중수본 전략기획반장이 방역조치 강화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제공. 연합뉴스
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15일 205명으로 2주 만에 두 배 이상 늘어나면서 병상 확보에 비상이 걸렸지만 정부는 민간병상을 적극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전략기획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민간병상을 중증환자 치료에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에 “현재 (민간병원 강제)동원 같은 다소 극단적인 계획을 검토할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어제 기준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53.5%이고, 2987명을 받을 수 있는 상태다. 감염병 전담병원의 경우도 1448명, 이 가운데 수도권에서 542명을 더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실은 손 반장 발언과는 꽤나 거리가 멀다. 이날 중수본 자료를 보면 전날 기준 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당장 입원할 수 있는 중증환자 치료 병상은 전국을 통틀어 43개에 불과했다. 박유미 서울시 방역통제관은 이날 서울에서 당장 사용할 수 있는 중환자병상이 2개뿐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수도권 공공병원인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에 코로나19 확진자를 치료할 병상 270개를 마련하기로 했지만, 역시 중환자 병상은 아니다.

손 반장은 전날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가 ‘정부가 전문의 자격시험을 면제해주는 조건으로 전공의를 코로나19 진료 현장에 투입하겠다는 방안을 제시했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해 “전공의를 긴급 투입할 생각이 없고, 그런 의사를 밝힌 적도 없다”고 밝혔다. 손 반장은 “의료 인력 확보에 있어서 강제 동원까지 거론할 단계는 아니다”라며 만약의 경우 의료인을 동원한다고 하더라도 전공의보다는 현장에서 필요한 전문의 등을 우선순위에 두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정세균 총리는 이날 제1차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상황점검회의에서 “선구매한 (글로벌 제약사들의) 백신이 내년 1분기부터 제때 도입돼 차질 없이 접종될 수 있도록 범부처 차원에서 면밀히 계획을 세워 준비해 나가겠다”며 범부처 회의체 가동을 지시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이 내년으로 미뤄진 것과 관련해 “백신 도입은 국내 절차를 따르는 것이어서 FDA 승인 여부와는 상관없이 우리 절차에 따르면 된다”고 말했다.

이날 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승인한 코로나19 임상시험계획은 모두 35건으로 이중 치료제가 29건, 백신이 6건이다. 경증 환자에게도 사용할 수 있는 코로나19 치료제가 언제 출시될지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개발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항체치료제다. 셀트리온의 항체치료제 ‘CT-P59’가 서울아산병원에 입원해 있는 확진자에게 치료 목적으로 처방될 수 있도록 지난 11일 식약처 승인을 받았다. 이에 따라 CT-P59는 식약처로부터 ‘조건부 승인’을 받기 전 일부 환자들에게 먼저 투여될 것으로 보인다. 연내 조건부 승인을 받으면 다른 병원에도 내년 초 공급이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0-12-16 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