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 검사’ 음성 나왔으니까 연말파티? 10%는 ‘가짜 음성’… 집콕 지켜주세요

‘신속 검사’ 음성 나왔으니까 연말파티? 10%는 ‘가짜 음성’… 집콕 지켜주세요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0-12-16 22:02
업데이트 2020-12-17 04: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속항원검사는 감염 조기 발견 목적
음성 후 감염 우려 등 거리두기 지켜야

이미지 확대
추위 속 기다림
추위 속 기다림 16일 오후 서울 강서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받기 위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2020.12.16 연합뉴스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누구나 무료로 해 준다는 소식을 듣고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를 찾은 A씨. 그는 코로나19 음성 판정을 받고서 곧장 지인들과 1박 2일 연말 모임을 잡았다. 안심하고 맘껏 놀 수 있게 다들 자기처럼 진단검사를 받고 오라고 했다. 전원이 음성 판정을 받고 모이더라도 이 모임은 괜찮은 걸까.

결론부터 말하면 괜찮지 않다. 코로나19에 감염됐는데도 검사에서는 음성이 나오는 ‘위음성’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16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임시선별검사소에서는 비인두도말PCR, 타액PCR, 신속항원검사 중 원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중 비인두도말·타액PCR은 유전자를 증폭해 검사하는 방식이라 검체에 바이러스가 아주 소량만 있어도 양성인지 음성인지 비교적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 그러나 신속항원검사 진단키트는 민감도(양성을 양성으로 판단할 확률) 90%, 특이도(음성을 음성으로 판단할 확률) 96%다. 즉 코로나19에 감염됐어도 음성으로 나올 확률(위음성)이 10%, 음성인데 양성으로 나오는 위양성 확률이 4% 정도 되는 셈이다. 검사가 편하고 빨리 결과를 볼 수 있지만 몸 안에 바이러스 양이 많을 때만 검사 결과가 양성으로 나와 PCR보다 정확도가 훨씬 떨어진다.

정기석 전 질병관리본부장은 “신속항원검사 진단키트 제조사가 밝힌 위음성 가능성이 10%라지만 검체를 잘못 채취하면 위음성률이 더 올라간다”며 “신속항원검사 결과만 믿고 여기저기 다니거나 모임을 하면 바이러스를 전파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 가장 정확하다는 비인두도말PCR에서 음성 판정을 받으면 연말 모임을 해도 될까. 정 전 본부장은 “바이러스 검사는 현 시점의 상태를 볼 뿐이다. 오늘 음성 판정을 받고 내일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모레부터 바이러스를 뿌리고 다니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현재 선별검사소에서는 비인두도말PCR 89.5%, 타액PCR 6.6%, 신속항원검사 3.9% 비중으로 검사가 이뤄지고 있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수도권의 한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익명검사를 통해 19명이 확진 판정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0-12-17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