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치료제 이르면 이번 주 긴급사용 신청

셀트리온 치료제 이르면 이번 주 긴급사용 신청

이현정 기자
이현정, 박찬구 기자
입력 2020-12-22 22:10
업데이트 2020-12-23 02: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丁총리 “코로나 극복 중요한 계기 될 것”
화이자 백신 등 확보·접종 시기 불확실

이미지 확대
정세균 국무총리는 22일 인천 셀트리온 2공장을 방문해 연구소와 배양시설 등을 둘러봤다. 사진은 셀트리온이 개발 중인 항체치료제 ‘CT-P59’ 모습.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는 22일 인천 셀트리온 2공장을 방문해 연구소와 배양시설 등을 둘러봤다. 사진은 셀트리온이 개발 중인 항체치료제 ‘CT-P59’ 모습.
연합뉴스
한국의 ‘코로나19 백신 늑장 확보’ 논란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내년 1분기 백신 접종을 차질없이 진행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전략적 선택 때문에 백신 확보가 늦었다는 옹호론과 늑장 대처로 실기했다는 비판론이 엇갈린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2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선구매한 백신을 내년 1분기부터 제때 도입해 차질 없이 접종할 수 있도록 범부처 차원에서 계획을 세워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외에 다른 개별기업과의 구매 계약은 아직 체결 전이어서 물량 확보 시기 등 모든 것이 현재로선 불확실하다. 화이자, 얀센과는 올해, 모더나와는 내년 1월까지 코로나19 백신 계약을 완료할 계획이지만 정부도 내년 1분기 화이자·얀센·모더나 백신 접종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빠르면 내년 2월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하더라도 이달 초부터 접종을 시작한 미국·영국보단 2개월가량 늦는다. 그만큼 한국은 코로나19의 영향권에 더 오래 머물게 되는 셈이다. 정부가 화이자, 모더나 백신을 미리 확보하지 못한 것은 오판의 결과라는 지적도 나온다. 앞서 정 총리는 지난 20일 KBS 일요진단에서 지난해 7월 백신 태스크포스(TF)를 만들 당시 많은 전문가들이 다른 국가들의 백신 사용을 지켜보며 도입하자는 의견을 제시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이재갑 한림대 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정 총리가 어떤 전문가를 말하는지 모르겠으나 당시 전문가들 사이에선 백신 조기 도입에 대해 부정적으로 말하는 이들이 거의 없었다”고 말했다.

안전성에 대한 정부 우려와 달리, 화이자 백신을 접종한 미국에서 심각한 부작용은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백신 늑장 도입 논란이 일자 정부는 치료제 개발 쪽에 힘을 싣는 분위기다. 정 총리는 이날 코로나19 항체치료제 ‘CT-P59’를 개발 중인 셀트리온을 방문했다. 셀트리온은 이르면 이번 주 질병관리청에 CT-P59 긴급사용승인을 신청할 전망이다. 정 총리는 “치료제가 개발되면 코로나19를 성공적으로 극복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세종 박찬구 선임기자 ckpark@seoul.co.kr

2020-12-23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