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에도 요양병원·시설 대면면회 제한…입국 전 코로나 검사 폐지하나

추석에도 요양병원·시설 대면면회 제한…입국 전 코로나 검사 폐지하나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22-08-24 16:48
업데이트 2022-08-24 17: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신규 확진 전날보다 1만 명 줄어
코로나19 신규 확진 전날보다 1만 명 줄어 신규 확진자 증가세가 한풀 꺾인 24일 서울 송파구 송파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관계자가 코로나19 검사를 받으러 온 시민들에게 순서를 안내하고 있다.
연합뉴스
3년 만에 일률적인 거리두기 없는 추석이 다가오지만 요양병원·시설 등에서는 대면 접촉 면회가 제한된다. 최근 감염취약시설에서 집단 감염이 두드러진 데 따른 조치다. 정부는 이번 추석 방역 대책을 준비하고 입국 전 코로나19 검사 폐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24일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의 대면 접촉 면회 제한을 추석 연휴에도 유지하겠다”면서 “어르신들의 건강을 위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중대본에 따르면, 요양병원·시설에서 집단감염은 165건(7월 4주)에서 45건(8월 3주)으로 줄었지만 평균 감염 규모는 24.8명에서 42.6명으로 늘었다.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13만 9339명으로 전날보다 1만 919명 줄었으나, 위중증 환자는 4월 26일(613명) 이후 가장 많은 573명이었다.

이에 정부는 251개 요양시설 의료기동전담반의 운영 상황을 점검하고, 아직 설치되지 않은 시군구별까지 확충할 계획이다. 오는 25일부터는 감염취약시설에서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했을 때 초동 대처를 강화하기 위해 상황별 모의훈련을 시작한다. 추석 연휴 방역 대책도 조만간 발표한다.

입국 전 코로나19 검사의 폐지 필요성이 제기되는 데 대해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질병관리청 중심으로 전문가 의견 수렴 중”으로 “비행기 등 밀폐된 공간에서 식사하는 행위 등 고려할 사항이 많다”고 설명했다. 장기적 방역 대책을 위해 질병청 등은 1만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항체 양성률을 조사 중이다. 현재까지 5545명이 채혈을 마쳤고, 다음달 중 자연 감염자나 미진단 감염자 규모 등을 공개한다.

김주연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