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정원 증원안을 놓고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 의사 표명 등 집단행동이 예고된 가운데 서울시가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공 의료 시스템을 동원한 비상진료대책을 마련한다고 19일 밝혔다.
서울시는 의료계 집단행동이 현실화하여 위기경보가 ‘경계’에서 ‘심각’ 단계로 격상될 경우 공공의료기관 비상진료체계, 보건소 연장 진료, 응급의료기관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해 진료 공백을 줄일 계획이다.
심각 단계로 격상되면 서울시 8개 시립병원은 내과, 외과 등 필수 진료 과목을 중심으로 평일 오후 8시까지 진료한다. 서울의료원, 보라매병원, 동부병원, 서남병원은 응급실을 24시간 운영한다.
이미지 확대
정부가 의대정원 증원 필요성 및 의사 집단행동 관련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한 지난 18일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에서 환자가 이동하고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지난 16일 ‘빅5’ 병원 전공의 대표들과 논의한 결과 19일까지 해당 병원 전공의 전원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20일 오전 6시 이후에는 근무를 중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정부가 의대정원 증원 필요성 및 의사 집단행동 관련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한 지난 18일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에서 환자가 이동하고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지난 16일 ‘빅5’ 병원 전공의 대표들과 논의한 결과 19일까지 해당 병원 전공의 전원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20일 오전 6시 이후에는 근무를 중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서울시 25개 자치구 보건소도 평일 저녁 8식까지 진료 시간을 연장할 계획이다. 개원의들까지 집단행동에 동참하면 보건소는 주말까지 진료를 연장한다. 또 49개 응급의료기관의 운영현황도 상시 점검할 예정이다.
특히 불편 최소화를 위해 문 여는 동네 병·의원 정보를 수집해 관련 정보를 ‘응급의료포털’(www.e-gen.or.kr)에서 제공한다. 전화는 국번없이 120(다산콜센터), 119(구급상황관리센터)로 연락하면 되고 모바일 앱 ‘응급의료정보제공(e-gen)’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서울시는 지난 7일부터 행정1부시장을 본부장으로 한 비상보건의료대책본부를 구성하고 의료계 상황과 비상진료기관 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협력해 향후 집단행동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