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장심사 준비 분주 朴 변호 전략
유영하, 자택에 2시간 머무르며법원서 주장할 내용 꼼꼼히 제시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29일 서울 서초구 서울지방법원 청사에 박근혜 전 대통령의 출석에 대비한 포토라인이 설치됐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박 전 대통령 측 유영하(55·사법연수원 24기) 변호사는 이날 오후 1시쯤 서울 강남구 삼성동 자택을 찾았다. 유 변호사는 2시간가량 머물며 박 전 대통령이 법원에서 주장할 내용을 꼼꼼하게 제시하며 영장실질심사 전략을 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1일 있었던 검찰 소환 조사에 대비해 이미 준비했던 내용이 많아 최종 점검에는 시간이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정장현(56·16기) 변호사를 비롯한 나머지 8명 변호사들은 자택을 찾지는 않았지만 수시로 연락을 주고받으며 대응 논리를 가다듬었다. 변호인단은 검찰이 구속영장을 청구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대비를 하고 있었지만 청구 시기가 예상보다 빨랐던 터라 외부와의 연락도 자제하며 준비에 열중했다.
소환 조사 때와 마찬가지로 영장실질심사에서도 유 변호사와 정 변호사가 전면에 나서고 손범규·서성건·이상용·채명성 변호사 등이 법원에 동행해 후방 지원을 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 역시 지난 21일 소환 조사를 주도한 서울중앙지검의 이원석(48·27기) 특수1부장, 한웅재(47·28기) 형사8부장이 투입될 전망이다.
변호인단은 이번 사태를 박 전 대통령 주변 인물들의 ‘측근 비리’로 규정하며 검찰이 제기한 ‘구속의 형평성’ 주장을 피해 갈 예정이다. 최순실(61)씨와 안종범(58)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정호성(48) 전 비서관 등이 모두 구속 기소됐지만 박 전 대통령은 공범이 아니기 때문에 이들과 형평성을 따질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박 전 대통령 측의 한 변호사는 “삼성으로부터 뇌물을 받았다는 혐의와 관련해서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도 뇌물을 주지 않았다고 거듭 주장하고 있다”며 “아직 사실관계가 확정되지 않은 부분이기에 구속 형평성 문제를 제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손 변호사는 “(미르·K스포츠 재단 뇌물죄와 관련해) 기업이 돈을 내는 것은 재단을 설립하는 행위에 불과한데 검찰은 이를 뇌물을 주는 행위라고 하고 있다”며 “결국 뇌물을 받을 주체가 아직 만들어지지도 않았는데 뇌물을 주고받았다는 말을 하는 셈인데, 이는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변호인 추가 선임 없이 다수 법조인 조언
증거 인멸과 도주의 우려에 대해서도 전면 부인할 방침이다. 박 전 대통령이 임명했던 정부 관계자들에게 영향력을 끼쳐 증거를 인멸할 수 있다는 검찰의 주장은 박 전 대통령이 파면 상태인 것을 고려할 때 설득력이 없다는 것이다. 사실상 가택연금 상황이기 때문에 검찰의 협조 요청에 불응해 도주할 수 없다는 점도 강조할 예정이다. 박 전 대통령 측은 “소환 조사와 영장실질심사에 충실히 응하고 있다. 검찰이 주장하는 출석 거부의 우려 또한 구속의 사유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박 전 대통령은 변호인단을 추가로 늘리지는 않았으나 판사 출신 변호사를 비롯해 다수의 법조인으로부터 조언을 구하며 영장실질심사와 앞으로 있을 재판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7-03-30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