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삼성으로부터 8000억원을 걷었다고 주장해 명예훼손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김경재(75) 한국자유총연맹 총재가 첫 재판에서 혐의를 부인하고 나섰다.
이미지 확대
김경재 한국자유총연맹 회장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경재 한국자유총연맹 회장
서울중앙지법 형사19단독 박재순 판사 심리로 13일 열린 김 총재에 대한 명예훼손 및 사자 명예훼손 공판에서 김 총재 측은 이같이 밝히며 “서울역 집회 당시 연설은 박근혜 전 대통령이 미르·K스포츠재단을 만들었어도 공익 재단이라 그 자체로 불명예스러운 것이 아니라는 취지였다”고 말했다.
이어 “노무현 전 대통령이 삼성장학재단을 통해 8000억원을 걷었다는 발언 내용 역시 노회찬 의원의 국회 발언이나 언론 보도에서 나온 것이다”며 “노 전 대통령 측이 반발하지 않아 객관적인 사실로 믿고 허위사실에 대한 인식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김 전 총재 측은 “이해찬 의원이나 형인 이해진씨가 장학재단을 관리했다는 발언은 공익재단의 대표가 되고 자금 관리를 했다는 언론보도 내용에 따른 것이다”면서 “설사 허위라고 해도 사회적 가치나 평가를 하락시키는 표현은 아니었다”고 밝혔다.
김 총재는 지난해 11월과 지난 2월 서울역 광장 등의 집회에서 “노무현도 삼성으로부터 8000억원을 걷었다. 그 때 주도한 사람이 이해찬 총리고 펀드를 관리한 사람이 이해찬의 형 이해진이라는 사람이다”고 발언했다.
이에 노 전 대통령의 아들 건호씨와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 총재를 사자명예훼손 및 명예훼손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소했다. 이 의원의 형 이해진씨도 서울중앙지검에 고발장을 접수했다.
김 총재에 대한 다음 기일은 9월 18일 오후 2시에 열릴 예정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