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지 아닌 메신저를 타격 필요”
녹취록 제출한 정영학 회계사 겨냥
수사대비 및 여론조성 목적 의심돼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왼쪽)와 신학림 전 언론노조 위원장. 연합뉴스, 미디어오늘
당시는 정 회계사가 대장동 일당과 나눈 대화 내용 녹취록이 공개되는 등 비리가 수면 위로 드러나던 시점이라 정 회계사를 ‘공격’하고 여론을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의미로 풀이되기 때문이다.
서울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중앙지검 대선개입 여론조작 특별수사팀(팀장 강백신)은 신 전 위원장의 휴대전화 포렌식 과정에서 2021년 10월 12일쯤 김씨에게 전송된 “메시지가 아니라 메신저를 타격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의 문자 메시지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문자 메시지의 의미는 정 회계사의 녹취록 내용 자체(메시지)가 아니라 정 회계사(메신저)를 직접 공격하라는 의미로 검찰은 보고 있다. 이렇게 하면 정 회계사 녹취록 등에도 신빙성 의문이 제기된다는 취지다.
이 문자 메시지가 전송된 이틀 뒤 김씨는 한 일간지와 최초 인터뷰를 했다. 여기서 김씨는 “정영학은 옛날부터 사업마다 동업자들을 감방에 보냈다”고 주장했다. 또 “주주끼리 이익 배분을 놓고 다투며 허위·과장 발언한 걸 녹음하고 녹취록을 근거로 검찰이 수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관련해서는 “사적으로 진짜 한 번도 만난 적 없다”고 했다. 정진상 전 민주당 당대표 정무조정실장,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과는 “밥 한 번 먹어본 적 없다”고 주장했다. 김씨가 향후 검찰 수사에 대비하고 여론을 유리한 방향으로 조성하려는 목적이 있어 보인다는 게 검찰의 판단이다. 이에 대해 신 전 위원장 변호인은 서울신문에 “아는 바 없고 취재에 응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검찰은 이 외에도 김씨와 신 전 위원장이 허위 인터뷰 이틀 뒤인 2021년 9월 17일 만남을 가진 사실을 파악하고, 이 자리에서 녹음된 파일도 확보해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