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처, 3차 尹강제구인 무산… 관저·대통령실 압수수색도 불발

공수처, 3차 尹강제구인 무산… 관저·대통령실 압수수색도 불발

송수연 기자
입력 2025-01-23 00:48
수정 2025-01-23 0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오동운 “사법부 결정 존중해야”
尹, 구치소 내 현장조사도 거부

비화폰 서버·계엄 문건 확보 시도
경호처에 막혀 관저 등 진입 못 해
檢 이첩 시간도 얼마 안 남아 ‘다급’

이미지 확대
오동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처장이 22일 오전 경기 과천 공수처로 출근하며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사법부의 결정을 존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고 있다. 공수처는 이날 윤 대통령에 대한 3차 강제구인에 나선 동시에 방문 조사도 시도했지만 모두 불발됐다. 뉴스1
오동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처장이 22일 오전 경기 과천 공수처로 출근하며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사법부의 결정을 존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고 있다. 공수처는 이날 윤 대통령에 대한 3차 강제구인에 나선 동시에 방문 조사도 시도했지만 모두 불발됐다.
뉴스1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22일 내란 우두머리(수괴) 혐의를 받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3차 강제구인에 나서는 동시에 방문 조사를 시도했지만 또다시 무산됐다. 공수처는 이날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와 대통령실에 대한 압수수색까지 시도했지만 이마저도 불발됐다. 검찰에 사건을 넘기기 전 윤 대통령 수사 진척을 서두르고 있지만 쉽지 않은 모양새다.

오동운 공수처장은 이날 정부과천청사로 출근하면서 “윤 대통령 측도 사법부의 결정을 존중할 필요가 있다”며 조사에 응할 것을 촉구했다. 오 처장은 “구인을 위해 방문 조사, 현장 조사까지 포함해서 최대한 소환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5일 체포돼 첫 조사를 받은 윤 대통령이 이후엔 구속영장이 발부(19일)됐음에도 출석 요구에 응하지 않자 공수처장이 직접 ‘공개 압박’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오 처장의 발언 이후 공수처는 이날 오전 10시 20분쯤 윤 대통령이 구속 수감 중인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에 도착했다. 공수처는 전날 서울구치소에 협조 공문을 보내 구치소 내부에 조사실도 마련해 뒀다. 그러나 이날도 윤 대통령이 현장 조사와 구인 등 일체의 조사를 거부함에 따라 5시간 만에 철수했다. 윤 대통령 변호인단은 입장문을 내 “심각한 위법 수사에 해당하는 범죄행위”라고 반발했다.

공수처는 이날 오전 10시 30분쯤 대통령 관저와 대통령실 압수수색도 시도했다. 윤 대통령 수사에 필요한 비상계엄 관련 문건과 회의록, 윤 대통령이 사용한 비화폰의 서버 기록, 대통령실 내 PC 등 전산 장비를 확보하려던 차원이었다. 하지만 경호처가 영장 집행을 승낙하지 않아 공수처 수사팀은 대통령실과 관저 내부로 진입하지 못한 채 이날 오후 4시 50분쯤 집행을 중지했다.

공수처가 다급한 모양새를 보이는 건 검찰에 사건을 넘겨야 하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아서다. 공수처는 대통령에 대한 기소권이 없어 구속 기한이 만료되기 전 사건을 검찰로 넘겨야 한다. 공수처가 이르면 23일 검찰에 사건을 넘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한편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전날 한덕수 국무총리를 피의자 신분으로 비공개 소환해 조사했다.
2025-01-23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