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풀어 쓴 생활 속 사주팔자 “잡념 많은 이는 움직여라”
해마다 연초면 ‘용하다’는 점집 앞에 사람들이 줄을 선다. 자신이 언제쯤 결혼하고, 돈을 벌고, 지위가 오를지를 묻기 위해서다. 한번쯤 재미로 본다면 그럴 수 있겠다.한데 어디 그런가. 점집 안에선 고개를 주억거리다가도 되돌아서 나오면 뭔가 불안하다. 그렇다 보니 또 다른 역술가를 찾게 되고, 점집 원정도 시작된다.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간과 에너지를 썼는데, 되레 그 문제가 다시 자신을 옥죄는 악순환이 생긴 셈이다.
이들이 알고, 또 고치고자 하는 것이 뭔가. 사주팔자다. 사주는 음양오행의 구성과 배치를 해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주팔자를 고친다는 말은 곧 내 몸과 나를 둘러싼 환경의 음양오행의 비밀을 풀고, 그 배치를 새롭게 한다는 뜻과 통한다.


음양오행은 몸에서는 장기와 얼굴의 이목구비, 경맥 등으로, 실생활에서는 방위와 색, 계절, 감정 등으로 구체적이고 다양하게 나타난다. 한 주를 구성하는 요일만 봐도 음양을 뜻하는 일·월요일과 오행을 뜻하는 화·수·목·금·토요일의 순환으로 이어진다. 쉽게 말해 우리의 삶을 역전시켜 줄 다양한 요소들은 실상 우리 생활 곳곳에 있는데, 정작 그걸 우리가 모르고 있을 뿐이란 얘기다. 책은 우리가 지나쳤던 음양오행의 구체적인 실례들을 쉽게 실생활에 적용해 준다.
방금 애인과 헤어진 사람이 있다. 당연히 지금 그를 지배하는 감정은 슬픔(悲)일 터다. 오행으로 보면 슬픔은 금(金)에 해당된다. 오행의 흐름상 금을 녹일 수 있는 것, 즉 금의 힘을 누를 수 있는 건 화(火)다. 화에 해당하는 감정은 기쁨(喜)이다. 따라서 실연을 당한 사람이 슬픈 노래를 듣고 슬픈 영화를 보는 건 악수 중의 악수다. 억지로라도 웃어야 하고, 남쪽을 향해 해의 기운을 받거나 쓴 음식을 먹어 화의 기운을 보충해야 한다.
또 평소 잡념(思)이 많은 사람이라면 토(土) 기운이 과한 것이기 때문에 자신의 몸에 덕지덕지 붙은 흙을 털어내기 위해 사지(四肢)를 부지런히 움직여야 한다. 책은 이처럼 한자 하나하나의 풀이를 통해 음양오행의 재배치에 대한 이야기들을 전하고 있다. 1만 39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1-11-1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