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 최상위 포식자는 몸길이 60센티 이것?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는 몸길이 60센티 이것?

입력 2013-01-14 00:00
수정 2013-01-1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내에서 자취를 감춘 호랑이 대신 담비가 최상위 포식자의 입지를 굳힌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 4년간 원격 무선 추적과 무인 카메라, 배설물을 통한 먹이 분석 등을 이용해 담비(멸종위기 2급)를 연구한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그 결과 몸 길이가 기껏해야 60㎝ 안팎인 담비가 대형 동물을 사냥하는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이자 넓은 행동권을 지닌 우산종으로 밝혀졌다. 우산종은 행동권이 넓고 먹이피라미드의 꼭대기에 있는 종을 말한다. 우산종을 보호하면 같은 공간에 있는 다른 종들을 함께 보호하는 효과가 있어 종의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한국 사회의 야생 생태계 맨 위쪽 포식자로 자리 잡은 담비 두 마리가 최근 눈밭에서 고라니 사냥에 성공한 뒤 느긋한 식사를 즐기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제공
한국 사회의 야생 생태계 맨 위쪽 포식자로 자리 잡은 담비 두 마리가 최근 눈밭에서 고라니 사냥에 성공한 뒤 느긋한 식사를 즐기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제공


담비가 남긴 배설물 414점을 분석한 결과 농민과 마찰을 빚는 유해 동물(멧돼지, 고라니, 청설모 등)들의 천적임이 드러났다. 멧돼지, 고라니 등의 대형 포유류가 먹이의 8.5%를 차지했는데 담비 한 무리(3마리)가 연간 고라니 또는 멧돼지(새끼) 9마리를 사냥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자그마한 체구의 담비가 대형 포유류도 제압할 수 있는 이유는 단독 생활을 하는 다른 맹수들과 달리 2∼3마리가 역할을 분담해 ‘파상공격’을 펴는 데다 용맹성도 타고났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담비가 모이면 호랑이도 잡는다’는 옛말대로다.

생태계의 조정자로서 담비를 높이 평가하는 이유는 먹이가 다양하기 때문만은 아니다. 담비가 즐겨 먹는 멧돼지나 고라니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대표적인 야생동물이다. 청설모는 잣, 호두, 밤 등의 고소득 견과류에, 말벌은 양봉에 타격을 준다. 야생동물을 이용한 작물 피해를 줄이는 활용 가치도 있다는 의미다.

유진상 기자 jsr@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