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4일(현지시간) 미국 스토니브룩대학교에서 생명·보건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KIST와 스토니브룩대학이 강점을 갖고 있는 신경과학분야의 상호협력을 통한 시너지 창출을 목적으로 진행됐다. 두 기관은 신경과학을 포함한 생명과학 및 보건과학분야의 장기 공동연구, 스토브룩대 캠퍼스 내 KIST 현지 실험실 설립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또 교육·훈련, 과학기술 정보 및 인력교류, 기술사업화 등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협력을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신경과학분야 및 임상중개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스토니브룩 의대의 데니스 최 교수가 KIST 뇌과학연구소장을 겸직하기로 했다. 최 교수는 하버드대 박사과정 재학 중에 진정수면제인 벤조다이에제핀의 약리작용을 최초로 규명하고, 미국 국가뇌연구재단 및 크리스토퍼리브 재단 등에서 수상한 바 있다.
스토니브룩대학은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시스템에 속해 있는 4개 대학 중 하나로 1957년 개교 이래 세 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였고, 응용과학, 의‧약학, 경영, 사회, 교육, 예술 등을 포괄하는 종합대학이다. 문길주 KIST 원장은 “뇌질환에 특화된 스토니브룩대와의 협력을 통해, KIST 뇌과학연구소가 치매 기전 및 진단, 치료 연구 등에서 탁월한 연구성과를 거둘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건형 기자 kistch@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