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초대 이사장 취임
“정부출연연구소(출연연)는 한국이 산업화 시대에 발전하는 데 크게 공헌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민간의 역할이 커지고, 대학의 창의적인 연구 성과가 나오면서 위상을 잃어 가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전면적인 개혁과 새로운 출발이 필요합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제공

이상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초대 이사장이 16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취임 간담회에서 “연구기관 간의 칸막이를 낮춰 융합 연구를 활성화하겠다”고 말하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제공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제공
이 이사장은 “연구기관 간의 칸막이를 낮춰 교류와 융합을 활성화하고 중소·중견기업에 도움이 되는 기술을 개발하도록 할 것”이라며 “기술수지 적자가 계속되고 있는데, 출연연이 세계를 선도하는 기술을 개발해 기술수지 흑자를 앞장서서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대한민국 대학들이 세계 일류를 목표로 내세웠을 때 모두 불가능한 얘기라고 생각했지만, 이제 세계 수준의 대학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며 “장비나 예산 등의 문제도 크겠지만, 가장 큰 원동력은 우수한 인력을 파격적으로 유치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출연연도 연구기관인 만큼 연구를 잘할 수 있는 탁월한 인재를 적극적으로 영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 이사장은 “너도나도 융합을 외치고 있지만, 한국의 융합연구는 ‘위에서 아래쪽으로 지시하는 방식’이란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융합은 자연스럽게 일선 연구원들의 필요에 의해 상향식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그는 ‘홀데인 원칙’을 한국에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홀데인 원칙은 영국의 정치가인 리처드 홀데인이 주창한 정책으로 ‘연구기금의 사용은 정부가 아닌 연구기관에 의해 결정돼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1900년대 초반부터 영국이 지켜온 이 원칙은 영국을 기초과학 강국으로 만든 중요한 배경으로 분석된다. 이 이사장은 “완벽한 홀데인 원칙을 곧바로 적용할 수는 없겠지만, 한국의 출연연 역시 자율성과 독창성을 최우선 원칙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2014-07-17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